노블리스 오블리제[ noblesse oblige]란 사회 고위층 인사에게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도덕적 의무로써,
이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초기 로마시대에 왕과 귀족들이 보여 준 투철한 도덕의식과 솔선수범하는 공공정신에서 비롯되었다고합니다.
초기 로마 사회에서는 사회 고위층의 공공봉사와 기부·헌납 등의 전통이 강하였고, 이러한 행위는 의무인 동시에 명예로 인식되면서 자발적이고 경쟁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귀족 등의 고위층이 전쟁에 참여하는 전통은 더욱 확고했는데, 한 예로 한니발의 카르타고와 벌인 16년 간의 제2차 포에니전쟁 중 최고 지도자인 콘술(집정관)의 전사자 수만 해도 13명에 이르렀다고 합니다.
로마 건국 이후 500년 동안 원로원에서 귀족이 차지하는 비중이 15분의 1로 급격히 줄어든 것도 계속되는 전투 속에서 귀족들이 많이 희생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귀족층의 솔선수범과 희생에 힘입어 로마는 고대 세계의 맹주로 자리할 수 있었으나, 제정(帝政) 이후 권력이 개인에게 집중되고 도덕적으로 해이해지면서 발전의 역동성이 급속히 쇠퇴한 것으로 역사학자들은 평가하고 있습니다.
근대와 현대에 이르러서도 이러한 도덕의식은 계층간 대립을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으로 여겨져왔습니다. 특히 전쟁과 같은 총체적 국난을 맞이하여 국민을 통합하고 역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득권층의 솔선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하겠습니다.
실제로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서는 영국의 고위층 자제가 다니던 이튼칼리지 출신 중 2,000여 명이 전사했고, 포클랜드전쟁 때는 영국 여왕의 둘째아들 앤드루가 전투헬기 조종사로 참전하였습니다. 6·25전쟁 때에도 미군 장성의 아들이 142명이나 참전해 35명이 목숨을 잃거나 부상을 입었습니다.
당시 미8군 사령관 밴플리트의 아들은 야간폭격 임무수행 중 전사했으며, 대통령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의 아들도 육군 소령으로 참전했습니다. 중국 지도자 마오쩌둥이 6·25전쟁에 참전한 아들의 전사 소식을 듣고 시신 수습을 포기하도록 지시했다는 일화도 유명합니다.우리나라의 노블리스 오블리제는 모두 어디로 갔을까요?
우리나라에서는 일본 강점기였을때에 이시형 선생이 전재산을 팔아 온 가족을 이끌고 만주로 망명하셔서 신흥무관학교를 세우셨죠... 당시 이시형 선생의 가문은 대대로 정승판서 지내신 뼈대있는 가문에 우리나라에서 손으로 꼽을 수 잇는 거부 였죠. 그래서 만주에서 갖은 고초를 격으시고 광복후 온전히 돌아온 가족은 몇 안되죠. 우리 청대 가족들은 노블리스 오블리제의 정신이 살아 있는 분들이라고 믿습니다
'교육으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이들 동화책 인터넷으로 읽기 (0) | 2007.10.18 |
---|---|
[스크랩] 유태인 자녀교육 53가지 (0) | 2007.10.17 |
[스크랩] [서예] 난초 그리는 법 (0) | 2007.10.15 |
<모셔온글>현대인에게 가장 무서운 병은 조급증이다. (0) | 2007.10.15 |
[스크랩] 주제별 고사성어 (0) | 2007.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