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으로행복

[스크랩] 김구 그는 누구인가

good해월 2008. 8. 25. 12:55
[대한민국 건국의 영웅들 (8)] 김구 그는 누구인가
대의(大義)에 충실했던 독립운동의 대부
임정의 중심인물로 활약… 동학농민ㆍ의병운동 거쳐 신민회에서 활동

▲ 1945년 8월 김구 임정 주석이 OSS 책임자 도노번 장군과 광복군의 국내 진입 작전을 합의한 뒤 나오고 있다.
1992년 대통령 선거 때 각 당 후보에게 ‘존경하는 인물’을 물었다. 모든 후보가 ‘김구 선생’을 꼽은 기억이 난다. 지금도 무작위로 뽑은 사람에게 같은 질문을 던질 경우 김구가 ‘1위’를 차지할 가능성이 높다. 독립과 통일을 위해 바친 생애에 대한 존경심과 분단의 희생자로 보낸 데 대한 아쉬움이 뒤엉킨 때문이리라. 왜 우리는 오늘 그를 되살리려고 하는 것일까.

그는 1876년 7월 11일(음력) 황해도 해주읍 백운방 텃골(현재의 벽성군 운산면 오담리 파산동)에서 아버지 김순영(金淳永)과 어머니 곽낙원(郭樂園)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난 때는 강화도조약 체결 직후로 조선이 굳게 닫친 문을 열면서 동시에 일제의 마수가 뻗치기 시작한 시기였다.

어릴 때 이름은 창암(昌巖)이었고 19세 때 창수(昌洙)로 고쳤다. 38세 때(1913년) 다시 구(九)로 바꾸었다. 가장 미천하고 무식한 사람들도 자신과 같은 애국심을 가진 사람이 되게 하자는 뜻에서 백정의 ‘백(白)’과 범부의 ‘범(凡)’ 자를 따서 호를 ‘백범’이라고 하였다.

가난한 집안이었지만 김구는 9세 때부터 한글과 한문을 배워 이야기책을 읽을 수 있었고 서당에서 한학을 배워 통감과 사략 등을 이해할 수 있었다. 학문에 대한 갈증은 김구로 하여금 해외 망명생활의 고달픔 속에서도 꾸준히 일기를 쓰도록 이끌었고 붓글씨로 자신을 가다듬는 구도자(求道者)의 모습으로 이어졌다.

▲ 백범 선생의 부인 최준례 여사(오른쪽)
동학농민운동과 의병운동의 참여를 통해 그의 근대민족의식은 틀을 갖추어 갔다. 김구는 21세 때(1896년) 일본 육군 중위 스치다(土田讓亮)를 처형함으로써 일제의 ‘국모시해’를 응징하는 ‘백성의 도리’를 다하고자 하였다. 3개월 후 체포되어 해주감옥과 인천감옥에서 복역하던 1898년 3월 탈옥에 성공한다. 이후 김구는 근대민족운동에 발을 들여놓게 된다.

김구는 1904년 29세 때 최준례(崔遵禮)와 혼인한다. 1905년 을사늑약 체결 후 의법청년회ㆍ서명의숙ㆍ해서교육총회 등을 거쳐 신민회 활동에 참여하였다. 황해도 안악에 양산학교를 세웠으며 재령의 보강학교 교장 등으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1911년에는 이른바 ‘안명근 사건’으로 체포되어 17년형을 언도받고 서대문감옥에 수감되었다.

1914년 7월 가출옥으로 석방되었고 이후 소학교 교원으로 활동하였다. 3·1운동 직후 경의선 열차편으로 압록강을 건넜다. 안동(지금의 단둥)에서 이륭양행(怡隆洋行) 소속의 배를 타고 상하이에 도착한 때가 1919년 4월 중순이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이하 임정)의 수립을 세계에 알리던 때였다.

▲ '백범일지'의 표지
이후 임정 경무국장으로 시작해 1945년 11월 임정 주석 자격으로 환국할 때까지 임정의 중심인물로 활동하였다. 독립운동의 역경 속에서도 기억을 되짚어가며 1928년 상하이에서 ‘백범일지(白凡逸志)’를 쓰기 시작하여 이듬해 상권을 탈고하였다. 이후 1942년 충칭(重慶) 화평로 오사야항 1호 임정청사에서 하권을 쓰기 시작하였고 해방정국기에 소설가 이광수(李光洙)가 다듬고 정리하여 1947년 말 초판이 발간되었다.

그러면 평범한 인간으로 사는 데 자족하던 그에게 무슨 마력이 있어서 이봉창·윤봉길 의사와 중국 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한인특별반의 학생들, 또 한국 특무대 독립군과 OSS 국내정진대 대원들은 자신의 운명을 김구에게 맡겼을까.

1926년 말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李東寧)이 국무령(國務領)에 취임할 것을 권고하였을 때 그는 자신의 일천한 출신 배경을 이유로 사양했다. 이는 그의 인생관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 그가 국무령에 취임한 직후 국무령제도를 폐지하고 집단지도체제인 국무위원제로 개헌을 단행한 것은 그의 의식구조를 설명해 준다.

그는 독재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국무령제 대신 모든 국무위원을 동등한 지위에 설정함으로써 권력의 집중을 막고자 시도했다. 이러한 그의 사고는 1940년대 임정의 주석제 채택과도 상통한다. 그는 수평의 리더십을 통해 단결과 통합을 이끌어 내려고 노력했다.

파벌 양상이 임정 진로에 중대한 장애 요인으로 부각되던 1920년대 중반 김구의 선택은 임정 존립을 위한 관건이었다. 생활이 어려워 모친이 “한인사회 모두가 살아나갈 궁리를 하는데 너만 독립운동을 하겠다는 것이냐”고 말했지만 김구는 “죽어도 임정을 떠날 수 없다”고 했다(신동아 1986년 8월호)는 일화는 자기희생을 전제로 대의(大義)에 충실하고자 한 그의 단면을 보여주는 예이다.

그의 풍모는 동지·동포와 함께 하며 같이 나누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상하이 한인사회의 골목길에서 마주쳤을 때 편안함과 든든함을 느끼게 하는 체취, 그것이 인간 김구의 경쟁력이었다. 그는 스스로를 숙이고 낮춤으로써 남들이 우러러 보는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거’ 이래 중국 정부로부터의 재정지원을 토대로 독립운동을 주도함으로써 임정과 한인사회의 최고 실력자 반열에 올랐지만 그는 여전히 이전의 모습 그대로 살았다. 그리고 그의 뒤에는 당신의 생일상을 차릴 돈으로 권총 두 자루를 사서 “독립운동에 쓰라”고 내놓으신 어머니가 있었다. 그가 임정과 임정 가족의 목줄을 책임졌음에도 그에 대한 비판이나 비난이 뒤따르지 않은 사실은 나와 내 가족 우선이 아닌 한인사회 모두를 아우르며 추슬러 간 그의 리더십을 환기시켜 준다.

1949년 6월 26일 거처인 경교장(京橋莊·현재 신문로 강북삼성병원 내 소재)에서 육군 대위 안두희에 의해 시해되었다. 자주적인 민족통일국가를 수립하기 위해 남북의 분단정부 수립에 반대하던 그가 조국에서 동포의 손에 유명을 달리하였다는 사실은 한국 현대사의 아이러니였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으며 효창공원 뒤 백범기념관 옆에 안장되어 있다.

한상도 건국대 교수ㆍ사학
출처 : 낙송의 집
글쓴이 : 낙송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