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으로행복

[스크랩] 동지팥죽 이야기

good해월 2008. 12. 22. 13:25
 

 

 

 동지팥죽


12월 21일 (동지)  24절기의 하나인 동지에 쑤어 먹는날

24절기 가운데 하나로,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이다.

음력 11월 중기(中氣)이고 양력 12월 22일경이 절기의 시작일이다.
북반구에서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아서 밤이 가장 긴 날이며,

같은 시간에 남반구에서는 이와 반대인 하지가 된다.
동지를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므로 종교적으로 혹은 풍속적으로 축제로 삼았다.





짓날이 추워야 풍년이 든다

 

동지는 본격적으로 추워지는 때. 병해충은 기온이 낮아지면 활동을 못하고 죽기 때문에

겨울을 나는 각종 해충이 얼어 죽어야 다음해 농작물이 잘 된다.

동지(冬至)엔 팥죽으로 한해 액운 막아내자.

‘동지를 지나야 한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살 더 먹는다'는 말이 있다.



24절기의 하나인 동지에 쑤어 먹는 죽으로 중국 요순시대 형벌을 담당했다고 하는

신화적인 인물인 공공씨에게서 유래된 음식이다.


 


 



형초세시기》에 전하는 바에 의하면, 공공씨의 망나니 같은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질귀신이 되었다. 이 역귀가 생전에 팥을 싫어했기 때문에 동짓날이 되면 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를 쫓았는데 이것이 풍속으로 전래된 것이다. 붉은 빛은 양기를 의미하기 때문에 팥이 귀신을 쫓는 역할을 한다 하여 그 후로 잡귀를 물리치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동짓날을 '아세'라 했고 민간에서는 '작은 설'이라 했으며 이것은 태양의 부활을 뜻하는 큰 의미를 지니고 있어 설 다음 가는 작은 설의 대접을 받았다. '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한 살 더 먹는다'는 말도 여기에서 유래한다. 이웃에 돌려가며 서로 나누어 먹기도 한 이 음식은 시절식의 하나이면서 신앙적인 뜻을 지닌 음식이다.

만드는 방법은 붉은 팥을 푹 삶아 체에 거른 팥물에 불린 쌀을 넣고 약한 불에서 나무주걱으로 저어가며 뭉근하게 끓인다. 죽이 거의 익어가면 찹쌀가루를 익반죽하여 새알과 같이 생겨 새알심이라 하는 찹쌀 경단을 함께 넣는다. 다 만들어지면 먼저 사당에 올리고 각 방과 장독대, 헛간 등 집안의 여러 곳에 담아 놓았다가 식은 다음 식구들이 모여 앉아 먹는다. 이때 새알심은 먹는 사람의 나이 수만큼 넣어 먹는다. 또한 솔잎에 적시거나 수저로 떠서 대문이나 벽에 발라 잡귀가 드나드는 것을 막는 주술적인 의미로도 쓰였다. 동짓날이라 하여 늘 먹는 것은 아니다. 초승에 드는 동지를 '애동지' 라 하는데, 이때는 팥죽을 먹지 않는다.


 
동지팥죽 맛있게 만들기
 

- 동지(冬至)엔 팥죽으로 한해 액운 막아내자. -

동지는 일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날예요.
조상들은 동지를 새해의 시작으로 알고 작은 설이라하여

팥죽을 쑤어먹고 한살을 더 먹는다고 했다하네요.
동짓날 새벽 팥죽을 쑤어 집안 구석구석 뿌려두면

악귀를 물리치고 질병에서 벗어난다는 뜻도 있었다합니다.

올해는 12월 22일이 동지입니다.
온 가족 둘러앉아 팥죽 한그릇씩 비우고

2008년 한해 건강하게 잘 지낼 수 있도록 기원해봅시다~




 



재료: 

* 주재료 - 붉은 팥 1컵, 불린 쌀 1컵, 물 12컵, 소금 1작은술
* 새알심 - 찹쌀가루 2/3컵, 멥쌀가루 1/3컵, 끓는 물 2큰술

< 팥준비 >



팥은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삶는 것이 원칙입니다.

보통 콩은 5-6시간 물에 불린 후 삶아야 하나 팥은 껍질이 두꺼워 20시간을 물에 담가도 불어나지 않아요..

물에 담가 둘 경우, 팥의 눈에 물이 스며들어 삶을 때 자엽이 부풀어 배가 터지며

맛도 떨어지고 영양분이 빠져나와 썩기 쉽답니다~ 

< 팥 삶기 >

1. 붉은 팥은 씻어 일어서 잠길 정도의 물을 붓고 끓인 다음 부르르 끓어오르면 찬물을 한 번 붓고,

다시 한 번 끓으면 그 물을 버린다.
* 물이 최고로 끓어오르면 찬물을 부어서 섭시 50도 이하로 떨어뜨려야 부드럽게 익어요!
* 다시 끓어오르면 소쿠리에 쏟아 삶은 물을 버려야합니다. 떫은맛이 나거든요~

2. 1)에 새 물 4컵을 붓고 센 불에서 끓이다가 끓으면 중불로 낮추고
팥이 터질 때까지(1시간정도) 푹 삶는다.

삶으면서 물 4컵을 조금씩 부어준다. (뚜껑덮고 삶기)

* 팥의 양이 많거나 묵은 팥일 경우에는 2시간 정도 삶으세요!
* 팥은 중간 불에서 은근히 오랫동안 끓여야 색도 예쁘고 더 구수해요!

 

3. 2)에 나머지 물 4컵을 부어가며 체에 내려 거르고 껍질은 버린다.
* 이렇게 만들면 팥 거른 물이 6-7컵 나온답니다.
* 뜨거울 때 체에 내려야 잘 내려가요!
* 체는 어느 정도 고운 것을 사용해야 앙금이 부드러워요!
  (중간체에 한번 내린 후 고운체에 다시 내리세요!)


4. 앙금을 가라앉혀 사용한다.
* 팥에는 간을 따로 하지 않아요! 팥을 삶을 때 소금을 넣으면 팥이 무르지 않거든요..
 

< 새알심 만들기 >



- 멥쌀가루와 찹쌀가루를 2 : 1로 섞은 후 체에 내려 뜨거운 물로 익반죽하여
동전크기(지름 1cm 정도)로 둥글게 빚는다.
* 반죽은 오래 치댈수록 쫀득해요!
* 반죽 안에 잣을 넣어주어도 좋아요!
* 새알을 너무 크게 만들면 오래 익히게 되고, 오래 익으면 풀어져서 좋지 않아요!

< 끓이기 >



1. 팥 윗물을 먼저 솥에 붓고 끓으면 불린 쌀 1컵을 넣어 쌀알이 눋지 않도록

나무 주걱으로 저으면서 끓인다. (중간 불에서 5-10분)


2. 쌀알이 완전히 퍼지면 마지막에 앙금을 넣고 저으면서 다시 끓인다.

3. 끓을 때 새알심을 넣고 끓여 새알심이 떠오르면 불을 끄고 소금 1작은술을 넣어 간을 맞춘다.

* 팥 앙금을 처음부터 넣어 끓이면 바닥에 눌어붙기 쉬워요!
* 단팥죽으로 드시려면 먹기 전에 설탕을 기호대로(반컵정도) 섞어 드세요!

 
 
 
동지팥죽 이야기
 
 
 
 
동짓날 쑤어 먹는 팥죽. 찹쌀가루로 새알심을 만들어 넣고 꿀을 타서 먹는다. 
 
나이에 따라 새알심을 먹기도 하고, 
'귀신을 쫓는다'고 대문에 뿌리는 따위의 민속적인 뜻을 지니고 있다.  
 
 
 
종늠(宗凜)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공공씨(共工氏)가 재주 없는 아들을 하나 두었는데 
동짓날 죽어 역질 귀신이 되었다. 그 아들이 팥을 
두려워했음으로 동짓날 팥죽을 쑤어 물리치는 것이라'  했다. 
 
  
 
동지(冬至)는 24 절기의 스물두째. 대설과 소한의 사이에 든다. 
양력으로 12월 21일이나 22일이 된다. 
 
[금년-(2008년)- 12월 21일]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북반구(북위33도-43도)에 있는 우리 나라는 평균 
낮의 길이가 9시간45분.밤의 길이가 14시간15분이다.
 
 
동지는 음력으로 11월 10일이 채 못 되어 드는 애동지. 
'애동지'를 아기동지, 오동지라고도 한다. 
애동지가 드는 해는 팥죽을 쑤지 않는다. 
 
음력으로 11월 10일 이후에 드는 '늦동지'에만 팥죽을 
쑤어 먹는다. 혼자 먹지 말고, 나누어 먹는다. 이웃과. 
'죽 쒀서 남 준다'는 웃기는 얘기도 있지 않는가. 히히. 
 
 
 
경도잡지(京都雜志)에, 
 
'새 달력을 나누어 준다. 달력에는 황장력(黃粧曆)과 백장력(白粧曆)이 있다.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어새(御璽)를 찍었다.'
 
'또 서울의 옛 풍속에 단오날의 부채는 관원이 아전에게 
나누어 준다. 그러나 동짓날의 달력은 아전이 관원에게 바친다. 
이것을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한다. 그러면 관원은 
청장력을 고향의 친지나 묘지기 또 소작인에게 ! 나누어 준다' 
 
라고 했다. 
 
 
 
열양세시기(열陽歲時記)에, 
'달력의 상품은 황색으로 장식하고, 다음은
청장력(靑粧曆) · 백력(白曆) · 중력(中曆) · 월력(月曆) · 상력(常曆)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종이의 품질과 모양에 의한 구별이다.' 
 
'팥죽은 '귀신을 몰아낸다'는 뜻으로 중국에서 비롯된 것으로써 
                            우리 풍속이 아니다.' 라고 쓰여 있다. 
 
 
 
오늘(12월 21일)은 동짓날. 올해는 늦동지. 
팥죽 쑤어 먹는 것은 우리 풍속이 아니다. 
달력 나누어 주는 것이 진짜 우리의 동짓날 풍속이다. 


.

팥죽 만들기
 

제가 본 레시피는 팥을 1컵 썼는데..그게 2~3인분 정도라고
나오더라구요~ 그래서 전 500g을 모두 썼습니다.

그랬더니 총 7~8인분은 족히 나오는것 같아요^^

재료 : 팥 500g, 찹쌀가루 2공기, 멥쌀가루 1공기, 물 18공기,
소금 약간 (여기서 공기는 밥공기 기준입니다.)

그럼 팥죽을 만들어 보겠습니당~

1. 팥을 깨끗하게 씻어주세요~ 쓱싹 쓱싹
2. 그다음 팥이 잠기도록 물을 붓고 센불에서 팔팔 끓여줍니다.~
3. 그럼 물을 1공기 정도 더 넣고 한번더 팔팔 끓게 해줍니다~
4. 요렇게 2번 팔팔 끓이고 나면 채에 내려 그 물은 모두 버려주세요~
자~ 이제 본격적으로 팥을 삶을거에요~ 1시간 정도 삶으면 팥이 잘 으깨지더라구요~
( 팥 양이 많거나 묵은 팥이면 2시간가량 삶아 주는게 좋다고 합니다.)
저 위 재료에 보면 물18공기가 필요하다고 적어놓았죠? 그중 6공기의 물을 사용할게요~
5. 팥을 다시 냄비에 넣고 물6공기를 부어주세요~
그리고 나서 팔팔~ 끓여줍니다. 냄비 뚜껑은 닫고 삶아주시구요~

(물 6공기를 넣고 끓이는 모습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6. 이렇게 팔팔 끓게 되면 중간에 물 6공기를 나누어 부어주면서 계속 삶아주세요~
요 ↓ 사진처럼요^^ (냄비뚜껑은 닫고 삶되 중간 중간 뚜껑을 열어 물이 없다거나 팔팔 끓어오를때 5~6번 간격으로 물어넣어주었어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7. 요렇게 팥이 삶아질때 새알심을 만들었습니다.^^
(중간 중간 팥이 잘 삶아지는지..살피면서 중간 물을 넣어주면서 만들었어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찹쌀2공기 + 멥쌀1공기를 넣고 두 쌀가루가 잘 섞이도록
채에 한번 걸러 곱게 만들어 준 후 뜨거운물로 익반죽 해줍니다.~
(뜨거운 물로 익반죽을 하기 때문에 손으로 반죽하시면 위험해요!
뜨거운 물을 조금씩 부어주면서 숟가락으로 반죽해주세요)
* 여기서 주의할 점 : 저는 뜨거운물을 많이 넣어서 쌀가루를 더 넣었는데요..
처음엔 찹쌀가루를 더 넣어서 찰지게 해야겠다는 생각으로
찹쌀가루를 추가해서 쳤더니 더 진반죽이 되더라구요..;;;;
그래서 나중에 멥쌀가루를 추가해서 완성했답니다...
혹시나 저처럼 물을 많이 넣어 반죽이 질게 되면
찹쌀가루보다 멥쌀가루를 넣어 반죽을 맞춰주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많이 쳐줄수록 쫀득쫀득한 새알심이 됩니다.^^
그리고선 지름 1cm 정도의 새알심을 만들어주세요~ 전 좀 크게만들었습니다.
지름 2cm 정도? 그랬더니 저 반죽이 이 정도의 새알심이 되었어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8. 새알심을 만들면서 팥을 다 삶았습니다.~
그럼 마지막 6공기의 물을 사용할게요^^
팥을 채에 놓고 물 6공기를 나누어 부어주면서 숟가락으로 팥을 으깨주세요~
이물이 팥죽을 만들때 사용되는 물입니다.^^
팥을 으깨면 나오는 팥껍질을 전 모두 버렸어요~
어떤분들은 팥을 갈아서 넣기도 하신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 좀더 부드러운 팥죽을 위해 껍질은 모두 쓰레기통으로 고고씽~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9. 요렇게 팥을 으깨주면 앙금은 모두 가라않고 앙금 위 물 색깔이 이렇게 나옵니다.
이 앙금 위 물만 냄비에 넣고 팔팔 끓여주세요^^
(이 단계에서 원하시는 분들은 불린 쌀을 넣으셔도 됩니다.
저는 다음날 팥죽을 선물할 예정이어서 쌀이 불기 때문에 불린 쌀을 넣지 않았습니다.
불린 쌀을 넣기 원하시는 분들은 팥물이 펄펄 끓으면 불린 쌀을 넣고
눌러붓지 않도록 잘 저어주세요~ 그다음 단계는 밑과 똑같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0. 팥물이 팔팔 끓으면 남아 있는 앙금을 냄비에 넣고 눌러붓지 않도록 저으면서 끓여주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잘끓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1. 팥죽이 끓으면 이제 새알심을 넣어주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2. 새알심을 넣고 중간불에서 눌러붓지 않고 걸쭉해질도록 끓여줍니다.
(불 옆에서 요렇게 거진 30분 동안 끓여준거 같아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3. 이제 어느정도 걸쭉해지고 새알심이 밑 사진처럼 동동 떠오르면 불을 끄고 소금으로 간을 맞춰주세요~(전 수북하지 않은 정도의 한숟가락 소금을 넣었습니다.~)
단팥죽을 원하시는분들은 이 단계에 설탕을 넣어셔도 되구요~ 각자 기호에 맞게 드시기 원하시면 먹기 바로 직전에 넣으셔도 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자~~!! 완성된 모습입니다.!!
만든 제가 스스로도 참 대견했어요 ㅋㅋㅋㅋㅋ
이 냄비채로 어머님께 가져다 드렸는데 많이 좋아하셨습니다.~~
식은 상태로 먹어도 맛있습니다.! ㅋㅋ
이걸로 팥죽 만들기는 대완성 입니다~
 
 
   
 
 
 

어린왕자의들꽃사랑마을
 
 

 

 

 

 

 

 
 
<posted by daum 너와집나그네>
 
 
 
 
 
출처 : ..
글쓴이 : 너와집나그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