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상들의 생활도구에사용
***태극문양들***
태극문양을 길표로 사용한 증거자료
생활필수품들을 모았다.
중국풍 태극은 소영돌이 음양이 흑백이며 태극음양에 눈이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 태극은 음양이 홍청으로 그려진것과 태극소용돌이에 눈이없는 것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서기682년 그 이전부터 태극문양을 부적처럼 길표로 사용한것 같다.
주자1130년~1200년 도학년원 871년~999년 生(생) 長(장) 斂(렴) 藏(장)의 순환원리
129.600년이 우주의1년으로 천지인 하늘과 땅의 순화하며 운영하는 법도를 밝혔다.
★그 이상의 구체적인것은 생략한다.★
태극문양을 다양한 그림으로 그려서 조상들은 행운을 바라는 길표로 사용하였다는 것만을
밝히려는 것이 필자의 소견으로 역리학과 성리학에 대한것은 생략한다.
중국의 태극도설은1070년 보다388년이나 앞서 신라 감은사 주추돌에 선명하게 새겨 졋으며 고려시대 허재석관에 태극무늬 1144년 충주예성 신방석 태극무늬 1277년 종묘 정전 나무기둥에 태극문양1608년 우리나라에서 중국보다 앞서 사용한 근거와 중국태극은 동그라미가 겹쳐잇는 그림이며 우리나라 태극은 좌우상하로 휘감긴 문양이였다.
우리나라 국기의 태극문양은 우리들 조상의 행운의 그림으로 부적같은 길표였다.
중국태고의 태극문양▼
주염계가 그린 태극도설1070년대
주염계 태극도성 1070년▲
우리나라 태고의 태극문양▼
조선시대 베겟모에괘도 ▲
조선시대 윷놀이 말판에 삼태극문양 ㅂ▲
수복십이지상 열쇠패에 태극문양과 팔괘 ▲
조선시대 윷놀이 말판에 삼태극문양 ㅂ▲
수복십이지상 열쇠패에 태극문양과 팔괘 ▲
삼태극구름 ▲
8각상자 ▲
별전 ▲
맷돌 ▲
벼개 ▲
기와 ▲
창경궁 명전전 돌계단 ▲
종묘 태상돌게단 ▲
종묘정전돌게단 ▲
이태극파뢔 ▲
역경의 구조 ▲
안중근 혈서태극 ▲
홍청황색 삼태극 ▲
삼태극팔괘 ▲
삼태극 ▲
갓집 ▲
고종임금님의 황용포에 태극 ▲
규장각 어기 ▲
삼태극 금동장식 ▲
노래개 나비 ▲
떡살 ▲
반다지 장식 ▲
백자접시 ▲
삼태극배개마구리 ▲
이태극과 삼태극 소품들 ▲
삼태극 구름문양 ▲
삼태극 ▲
홍살문과ㅓ 홍전문에 이태극문양 ▲
청평사 돌계단에 이태극 ▲
왕늘에 세워진 홍살문의 삼태극 ▲
8괘의 삼태극문양 ▲
법륜대법 표기의 태극 ▲
사찰에잇는 범종의 태극기 ▲
조선왕실의 원찰 ▲
공민완릉 석물에 태극 ▲
거북선에 태극문양 ▲
20세기초 계력도(季歷圖) ▲
서기628년에 건립한 감은사지 장대석에 태극 ▲
고려시대8괘문경 ▲
밤닫이 투갑태합문 ▲
조선시대 12장무늬 ▲
조선시대 목인 안사순경정보 ▲
조선시대 백자떡살 ▲
조선시대 석적 북의일종 ▲
중국음양의 깆본원리 ▲
지장첩화 반짇고리 ▲
천아백자정성문면취 ▲
필보채
팔괘 태극경
조선시대 떡살
조선시대 떡살
태극팔괘 노리개
태극검
태극장검
담배재터리
소거
사찰에 법고
가래떡살
대북
교방고
노고
우리 좐들은 태극문양을 다양한 생필품에 접목하여 행운의 길료로 사용한 흔적은 너무도 많은것을 엿 볼 수가 있다.
19세기 조선국기 (대한제국) ▲
몽공국기에 태극문양 ▲
티벳국기에 태극문양 ▲
몽골과 티벳 국기의 태극문양은 소용돌이에 눈이 잇는 것으로 보아 중국태극도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