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장보살 영험록
필자가(김현준씨-불교신행연구원 원장) 잘 알고 있는 이 스님께서
"현재 공부중이라, 이름만은 밝히지 말라"고 하셨으므로,
여기에서는 '운호'라는 가명을 쓰고자 한다.
어려서부터 몸이 유난스레 약하였던 운호스님은 주위로부터
나이 삼십을 넘기기 힘들 것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었다.
자주자주 병원 신세를 지면서 근근히 학교를 졸업하고
몇 년 동안 직장을 다니다가 결혼 적령기에 '영원 생명'을 찾는
공부를 하고 싶어 출가하였다.
출가 후 스님은 대만으로 유학을 가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귀국하여 다시 강원공부를 마쳤다.
그러나 부처님의 가르침이 완전한 '나'의 것이 되기보다는 겉을
맴돈다는 느낌을 저버릴 수 없었다.
공부를 더하고 싶었던 운호스님은 다시 대만으로 갔다.
그러나 약하기 그지없었던 몸은 공부하고자 하는 마음을 따라주지 않았다.
'내가 정녕 출가사문일진대, 내 모습을 보는 이나
내 이름을 듣는 이가 환희심을 내어야 마땅하다.
그런데 이렇게 병약하고 무능한 나를 보고 누가 신심을 낼 것인가?
나는 오히려 주위 사람들에게 걱정만 끼치는 존재가 아닌가?'
이렇게 슬픈 생각에 잠겨 있던 스님은 때마침 대만에서 유행하고 있던
점찰법(占察法:십악과 십선을 적은 윷 같은 모양의 木輪을 던져
전생의 업을 알아보는 법)을 행하였다.
스님은 ≪점찰선악업보경≫에서 설한대로 지장보살의 명호를
열심히 부른 다음, 목륜(木輪)을 던졌다.
그러자 '살생업'이 많다는 괘가 나왔다.
'아, 살생을 많이 한 자는 몸이 약한 과보를 받는다고 했거늘,
나의 몸이 약하고 자주 아픈 것이 전생의 업보라는 것을 왜
깨닫지를 못하였던고? 지금 내가 해야 할 것은 그 무엇보다도
죄업을 참회하여 업장을 소멸시키는 일이다.'
출가한 후 10년 동안 제대로 기도 한 번 못하였던
지난날을 돌아보며 스님은 지장기도를 할 것을 결심하였다.
그리고 그 방법으로 택한 것이 ≪지장경≫ 전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1번 독송을 하고,
'나무지장 보살'을 천 번 부른 다음,
<지장예찬문>을 외우며 158배를 한다.
그리고 <지장예찬문> 끝부분에서
'지장보살' 천 번을 불렀으며, 기간을 21일로 정하였다.
스님의 기도 목적은 업장 참회에 있었다.
그런데 막상 기도를 시작하자 원래의 기도 목적과는 달리
집안의 조상들이 꿈에 보이기 시작했다. 이에 스님은 7일 마다,
한 번씩 간단한 음식을 마련하여 불보살님과 조상님,
그리고 유주무주고혼(有主無主孤魂)들께 시식
(施食)공양을 올리기로 하였다. 그러자 첫 7일째,
조상들이 흰 옷을 입고 공양을 받으러 오는 것이었다.
이에 두 번째 7일과 세 번째 7일에는 '변식진언(變食眞言)'을 외우며
영가들에게 공양을 올리는 것을 관상(觀想)하였다.
음식을 적게 마련하였을지라도 진언을 외우며 관상을 하면
부처님의 위신력에 의해 그 음식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관상을 하여서인지 스님은 공양이 차츰
뷔페식으로 바뀌는 꿈을 꾸었다.
조상님들은 상을 차려 놓은 특별실에서 공양을 들고,
유주무주고혼들은 아주 큰 홀에서 뷔페식으로
공양을 하는 모습이 보이는 것이었다.
그리고 세 번째 7일날에는 모두가 음식을 먹고 천도가 되는 꿈을 꾸었다.
이렇게 스님은 영가천도라는 부수적인 가피를 입은 것이다.
가피를 입어 환희심이 가득하였던 스님은 기도기간을
백일로 늘여 잡고 더욱 마음을 모아 기도하였다.
30일째 되는 날 스님은 또다시 꿈을 꾸었다.
스님은 지장보살께서 머물러 계신다는 어느 절로 들어가려 하였다.
그러자 우락부락하고 험상궂게 생긴 마구니, 요상하게 생긴 마구니,
심지어는 외국 비구니의 모습을 띤 마구니까지 입구에 일렬로
늘어서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었다.
이에 스님은 장삼을 크게 휘둘렀고,
그 순간 모든 마구니들은 땅바닥에 엎드리며 항복을 하였다.
스님이 당당한 걸음으로 절문 안으로 들어서자,
허공으로부터 소리가 들려왔다.
"수각(水閣)에서 손을 씻어라."
말씀을 따라 수각에 들어가 손을 씻자,
오른손을 씻은 물은 새까맣게 변하였고
왼손을 씻은 물은 반쯤 까만 회색빛이 되었다.
'아! 몸으로 지은 신업(身業)이 소멸되었구나.'
살생 등의 나쁜 짓을 주로 저지른 것이 오른손이었기에
그 씻은 물이 새까만 색,
왼손은 오른손을 도와 나쁜 업을 짓는 보조역할을
하였기에 그 씻은 물이 회색임을 깨달은 것이다.
이렇게 손을 씻고 신업의 소멸을 느끼고 나자
스님의 몸은 한없이 가벼워졌고,
꿈속에서 허공을 훨훨 날아다니게 되었다.
또 며칠이 지나 35일째 되는 날,
운호스님은 한국의 여러 스님으로부터 사미니계를 받는 꿈을 꾸었고,
65일째 되는 날에는 비구니계를 받는 꿈을 꾸었다.
이것이 자서수계(自誓授戒)이다.
불교의 여러 경전에서는 스스로가 지극한 정성으로 참회하고
발원하여 꿈속에서 불보살님으로부터 직접 수계를 받는
자서수계법을 설하고 있는데, 운호스님은 이 법에 의해
수계를 받아 마친 것이다.
그리고 백일 기도를 회향하는 날,
스님은 참으로 의미심장한 꿈을 꾸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치료를 받는다며 노천온천이 있는 지하로 들어가고 있었다.
스님도 그곳으로 가고자 하였으나,
줄이 너무나 길어 어떻게 해야 할지 당황하며 서 있었다.
그때 마침 대만에서 함께 공부를 했던 비구니가 앞쪽에 서 있는
모습이 보였고, 그 비구니는 스님을 손짓하여 부르더니
자기 앞에 서도록 하였다.
마침내 노천온천으로 들어 순서가 되었을 때 대만 비구니는
온천물 속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운호스님은 왠지 모르게 많은 사람들이
누워 있는 물 속으로 들어가기가 싫어 밖에서 서성거리고 있었다.
스님은 주위를 살피다가 조금 떨어진 반석 위에
까만 옷을 입고 앉아 계시는 아는 처사님을 발견하였다.
처사님은 8년 동안 지장기도를 한 분이었다.
스님은 그분 앞으로 가서 아래의 옷을 모두 벗은 다음 쭈그리고 앉았다.
처사님은 스님의 입 바로 밑쪽을 한동안 바라보다가 말씀하셨다.
"여기에 악귀가 붙어 있노라."
그리고 여드름을 짜듯 두 손가락으로 입 밑을 누르자,
고름이 양쪽으로 뻗어나가는 것이었다.
"이제 되었다. 앞으로는 삿된 생각만 조심하면 되느니라."
운호스님은 그 말씀 끝에 입으로 지은 구업(口業)이
소멸되었음을 느꼈다. 또한 '삿된 생각만 조심하라'는 것은
의업(意業)을 조심하면 된다는 깨우침이었다.
환희로움이 온 몸을 감싸고 도는 것을 느끼면서 스님은 벗어 놓은
옷을 입은 다음, 허공을 날아 2층 건물의 옥상에 올라섰다.
그곳에는 스님보다 키가 두 배나 큰 분이 넷이나 있었다.
그때 건물 아래로부터 스님을 찾는 대만 비구니의 음성이 들려왔다.
"운호스님, 운호스님…."
"저 여기 있어요. 잘 가요."
서로가 인사를 하며 헤어지는 순간 운호스님은 꿈에서 깨어났고,
백일기도 또한 마쳤다.
그런데 참으로 신통한 변화가 일어났다.
기도 전까지는 경전을 보고 있으면 내용이 분명히 다가오지 않았으나,
기도 후부터는 내용이 너무나 명확하게 이해가 되는 것이었다.
예를 들면,기도 후 스님은 아미타불의 정토신앙을 믿기 시작하였는데,
≪아미타경≫ 등을 읽으면 삽화가 그려져 있는 동화책을 보듯이
극락 세계의 여러 모습들이 그대로 펼쳐져 보이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경전의 내용이 저절로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없었다.
그야말로 총명득력(聰明得力)! 총명의 능력을 얻은 것이다.
그리고 그토록 잔병치레를 많이 하였던 몸도 그 누구보다 건강하여졌다.
이후 스님은 '인도로 가야겠다'는 생각이 불현듯 일어나 인도로 떠났고,
그곳에서 도력이 매우 높은 티벳의 고승들을 만나
그 분들의 지도 아래 현재 용맹정진을 하고 계신다.
스님의 원래 목적은 업장소멸에 있었고,
처음에는 21일 동안만 기도를 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기도를 시작하자 생각지도 않았던 조상들이 나타났고,
이에 스님은 영가천도를 해주고자 하였다.
영가들이 지장보살의 가피를 입어 좋은 세상으로 나아가는 것을
관상 (觀想)하면서 시식을 행한 결과,
많은 영가들이 가피를 입어 삼칠일(21일)만에 모두 천도가 되었다.
신심이 크게 일어난 스님은 21일 기도를 백일기도로 연장하여
더욱 열심히 매진한 결과, 꿈에서 사미니계와 비구니계를 받는
자서수계를 성취하였으며, 몸으로 지은 죄업인 신업(身業)이 소멸되는
꿈과 입으로 지은 구업(口業)이 소멸되는 가피를 입었다.
'앞으로는 삿된 생각만 조심하면 된다'는 말씀과 함께….
이렇게 신업과 구업이 소멸되자 스님에게는 건강과 총명이 가득하여 졌고,
공부를 잘할 수 있는 길도 저절로 열렸던 것이다.
곧, 백일지장기도를 통하여 영가천도, 업장소멸, 자서수계, 총명득력,
건강 및 새로운 스승을 만나 향상의 경지로 나아가는
가피까지도 모두 얻은 것이다.
출처:생활속의 지장기도/김현준(불교신행연구원 원장)
출처 : 파란 물결
글쓴이 : 靑 波 원글보기
메모 :
'믿음으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 직장을 그만둬야 할까요? (0) | 2011.06.21 |
---|---|
[스크랩] 업(業)과 환생 (0) | 2011.06.15 |
[스크랩] 허공에 세운 계란 (0) | 2011.06.15 |
[스크랩] 미안하지만 다음 생에 계속 됩니다. (0) | 2011.06.13 |
[스크랩] 석가탄생지 룸비니의 마야데비사원 (0) | 2011.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