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로행복

[스크랩] 1인가구 절반, 年1000만원도 못버는 빈곤층

good해월 2012. 12. 25. 07:45

 

1인가구 절반, 年1000만원도 못버는 빈곤층

한국경제 | 입력 2012.12.21 17:00 | 수정 2012.12.21 22:37
인사이드 Story - 통계청 '2012 가계금융·복지조사'

부채가구 평균 빚 8187만원…빚 낸 가구수 늘어

갈수록 심해지는 양극화…차기정부 '최우선 과제'

우리나라에서 빚을 낸 10가구 중 7가구는 원리금 상환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생계 부담을 느끼는 10가구 중 8가구는 저축이나 지출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빚을 낸 가구의 평균 부채는 8187만원. 부채 증가세는 지난해보다 다소 둔화됐지만 빚을 낸 가구 수는 더 많아졌다.

○"원리금 상환 부담

"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2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올해 3월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과 부채 규모, 재무건전성 등을 조사한 것이다.

전체 가구의 부채 평균액은 5291만원으로 조사됐다. 부채액은 1년 전보다 1.7% 늘었지만 증가 폭은 지난해(12.7%)보다 크게 둔화됐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디레버리지(부채 축소)에 나선 가구가 증가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 가운데 금융부채는 3599만원, 임대보증금은 1693만원으로 전체 부채액의 68.0%와 32.0%를 차지했다.

빚이 있는 가구는 전체 가구의 64.6%로 파악됐다. 지난해보다 1.8%포인트 늘어난 규모다. 다만 평균 부채액은 8187만원으로 1.2% 줄었다. 빚을 낸 가구 중 26.4%는 1000만원 미만의 부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왔다. 부채 규모가 1000만~3000만원인 가구는 20.4%, 3000만~5000만원 12.9%, 5000만~7000만원 9.0% 등의 순이었다. 3억원 이상의 부채를 지닌 가구도 5.4%에 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1년 전과 비교해 평균 부채액은 다소 줄었지만 적은 규모의 빚을 낸 가구가 상대적으로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취약계층 어려움 더 커져

전체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1495만원으로 지난해보다 5.8% 늘었다. 평균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도 2억6203만원으로 지난해보다 6.7% 증가했다. 금융부채와 원리금 상환액보다 가처분소득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가구의 재무건전성이 1년 전보다 일부 개선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계층별 소득과 자산 편차는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소득별로 보면 5분위(상위 20%)의 순자산은 6억756만원으로 14.1% 증가한 데 반해 1분위(하위 20%)의 순자산은 8917만원으로 전년 대비 5.1% 줄었다. 전체 가구소득도 절반가량을 5분위에 속하는 가구가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간 소득이 3000만원 미만인 가구는 전체의 40%를 넘었다. 1인 가구의 절반 가까이는 한 해 동안 1000만원도 벌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50대나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은 생계에 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부채 보유액은 50대 가구가 7634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다른 연령대가 모두 전년보다 감소하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증가(3.2%)했다. 자영업자 가구의 부채 보유액(8744만원)은 상용근로자(5487만원), 무직·학생 등 기타(5188만원) 등과 비교해 훨씬 많았다.

가계부채 해결 최우선 과제

금융당국은 현재 가계부채 문제는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집값 하락 폭이 더 커지고 국내외 경기침체가 더 장기화할 경우에 대비해 방안을 마련 중이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역시 금융 분야에서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가장 중요한 정책과제로 꼽고 있다.

차기 정부는 이미 대선 공약을 통해 18조원 규모의 '국민행복기금'을 조성, 금융회사와 민간 자산관리회사의 연체채권을 사들여 최대 70%(기초생활수급자 등의 경우)까지 채무를 감면해주는 방안을 내놨다.

또 연 20% 이상 고금리 다중채무자를 대상으로 1인당 1000만원 한도 내에서 저금리 장기상환 방식으로 바꿔줄 계획이다.

장창민 기자cmjang@hankyung.com

출처 : 제주몽생이
글쓴이 : 제주몽생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