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양로원에서
건강하고 열심히 살 때는 세월이 총알 같다고 쏜 화살 같다고 하건만
할 일 없고 쇠약하니 세월 가지 않는다고 한탄이시더이다
정신이 맑으면 무엇하리오 자식이 많은들 무엇하리오 보고 싶음만 더 하더이다
차라리 정신 놓아버린 저 할머니처럼 세월이 가는지 자식이 왔다가 가는지
애지중지하던 자식을 봐도 몰라보고 그리움도 사랑도 기억에서 모두 지워 버렸으니
천진난만하게 하루 세끼 주는 밥과 간식 먹는 것이 유일한 낙이더이다
자식 십여 남매 있으면 무엇하리오 이 한 몸 거처할 곳 없더이다
아들딸 유명인사면 무엇하리오 이 한 몸 갈 곳 없어 여기까지 흘러 흘러 왔더이다
허리띠 졸라매고 최고학벌 자랑하며 고생도 보람으로 알고 자식 뒷바라지했던들 무엇하리오
작디작은 이 한 몸 자식이 아닌 다른 사람 손에 매인 처량한 신세인 것을
인생 종착역인 이곳에 벗들은 많으나 마음 나눌 곳 없어 외롭더이다
앞 못 보는 사람 듣지 못하는 사람 그 속에서 맑은 정신은 외롭기만 하고
하기야 정신이 맑으면 무엇하리오 외롭고 괴로움만 더한 것을요
치매로 기억을 망각한다는 것은 고통을 벗어나는 유일한 방법이겠지요
인생 마지막 가는 종착역에 야속함도 사랑도 그리움도 추억도
정신에서 모두 내려놓으니 그 고통을 다 잊을 수 있고
모진 비바람도 다 지나간 조용히 흐르는 저 호수 같은 마음...
아범아 내 아들아
능인 스님
아범아 내 아들아 날 제발 데려가 다오 밥 굶어도 나는 좋고 헐벗어도 나는 좋단다
너의 얼굴 바라보면 밥 먹은 듯 배가 부르고 너와 함께 사는 것은 옷 입은 듯 나를 감싸니
애비야 내 아들아 제발 날 좀 데려가 다오.
어멈아 내 며늘아 날 제발 데려가 다오 우리 손주 재롱 보며 행복하게 살고 싶구나
달이 가고 해가 가도 그리운 건 너희 얼굴들 가고파도 갈 수 없는 기구한 나의 운명을
애미야 새 아가야 제발 날 좀 데려가 다오.
아가야 내 손주야 날 제발 데려가 다오 너의 애비 키우던 정 아직도 변함없는데
이 할미를 원망할까 니 애비를 미워할까 애지중지 키운 자식 세월 따라 멀어만 가니
아가야 내 손주야 제발 날 좀 데려가 다오.
작사, 작곡의 사연
대학을 졸업하고
공무원 생활을 하는 아들
역시 대학을 졸업하고
학교 교사로 근무하고 있는 며느리
거기에 대학을 다니고 있는 손자
그러나 그러한 가족들에게 버림을 받아서 양로원에 가야만 했던 어머니!
그것도 아들 며느리가 함께 차에 태워 이름 모를 길에 내려 주면서 잠깐만 여기서 기다리라고 해 놓고
다음날이 되어도 나타나지 않는 아들..
양로원에 갈 수밖에 없었던 할머니였습니다.
예천 연꽃 마을에 방생법회 갔을 때 만난 어느 할머니의 이야기다.
양로원에 갔다가 이 할머니의 가슴 아픈 사연을 듣고 나는 아연실색했다. 어머니의 말씀 한마디면 공무원과 교육자 신분을 가진 아들과 며느리가 과연 안전할 수 있을까?
그러나 그 할머니는 자식이 그리워서 눈물로 지내시면서도 우리 아들이 잘돼야 한다고 하시니 도대체 부모님의 마음은 어떤 것일까 ?
고학력 자식일수록 부모를 외면하는 이 시대에 아들을 그리워하는 어머니의 아픈 마음을 노래한 것이다.
아마도 젊은 사람들은 싫어할지도 모르겠으나 그래도 나는 이 노래를 만들어서 공연장에 가면 자신 있게 부른다.
이 시대에 효의 정신이 아지랑이처럼 다시 아물아물 피어오르는 그날까지...
지팡이를 짚은 노년의 긴 그림자가자꾸만 눈에 밟힌다.
사랑하는 부모님은 세월이 모셔간다고 합니다.
자식이 장성하여 가정을 이루고 살아도 언제까지나 주기만 하는 사랑!
살아생전 부모님께 아낌없는 사랑을 주었다면 이 세상 다 하는 날 영원한 이별 앞에서
당신이 드린 사랑의 깊이 그 깊이만큼 슬픔도 적을 것입니다.
|
행복 하소서
'효도보은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폐지줍는 老人 언덕길 고생 안타까워 브레이크 달린 리어카 만든 대학생들/조선일보2013.12. 10 (0) | 2013.12.11 |
---|---|
[스크랩] 태국의 감동영상 (실화) (0) | 2013.12.06 |
[스크랩] 어느 아버지의 상속재산 (실화) (0) | 2013.12.03 |
[스크랩] 자식은 내것이 아니다 (0) | 2013.11.16 |
[스크랩] ♣ 아버지가 아들에게 남긴 화제의 글 ♣ (0) | 2013.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