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으로행복

[스크랩] 광복 70년, 위대한 미래】하나되는 새로운 길 대한민국입니다

good해월 2015. 8. 13. 09:05

 

교내연수

 

광복 70, 위대한 미래하나되는 새로운 길 대한민국입니다

 

 

 

광복70년 경축행사, 함께 즐기는 국민축제로

14일 전야제, 15일 중앙경축식·국민화합대축제서울광장·광화문광장

 

광복70년을 맞아 14, 15일 양일간 다채로운 경축행사가 열린다.

국무조정실은 광복70년 경축행사로 14일 전야제, 15일 오전 중앙경축식, 15일 저녁 국민화합 대축제가 열린다고 11일 밝혔다.

 

 

광복70년 경축행사 웹포스터.

 

우선 14일 오후 730분부터 오후 9시까지 서울광장에서 광복70년 경축 전야제가 개최된다.

 

전야제는 빛 마중을 주제로 광복70년 대한민국의 역사와 문화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총 3부로 풀어낸다. 대한민국이 걸어온 위대한 여정을 표현하고 국민화합과 통일의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양희은, 인순이, 이승철, 씨스타 등의 공연도 펼쳐진다.

 

앞서 이날 오후 광화문 광장에서는 문화공연과 코리아 그랜드바겐 홍보 퍼포먼스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70주년 광복절인 15일에는 세종문화회관과 광화문광장에서 제70주년 광복절 중앙경축식과 병행행사가 열린다.

 

중앙경축식은 세종문화회관에서 오전 10시부터 1110분까지 독립유공자, 사회각계 대표, 파독근로자, 광복드림팀 등 약 3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된다.

 

같은 날 광화문광장에서는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중앙경축식 병행행사가 열린다.

 

대한민국의 발전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역사 망원경이 설치되고 8.15 플래시몹, 댄싱 페스티벌, 거리퍼레이드, 태극기 사진전 및 청소년 나라사랑 글그림 전시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15일 오후 610분부터 9시까지 광화문광장에서는 국민화합대축제 우리 기쁜날이 개최된다.

 

국민화합대축제는 새로운 도약을 위한 국민에너지, 역동성 결집을 주제로 미래세대 청소년 등 일반국민이 직접 참여해 대한민국의 화합’, ‘에너지’, ‘무한가능성을 표현할 계획이다.

 

1부에서는 팝스 오케스트라, 어린이 합창단, 뮤지컬 가수의 공연이 있을 예정이다. 또 민족대표 33인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했던 것처럼 청소년 33명이 청소년선언문을 낭독하게 된다.

 

2부에서는 뮤지컬 <영웅> 갈라 공연, 태권무 공연, 알리, 양방언 등 국악과 양악이 어우러지는 콘서트가 진행된다.

 

3부는 청소년 동아리팀 및 개그콘서트팀 공연 등에 이어 관람객과 출연진이 함께하는 대화합의 한마당이 대미를 장식한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는 서울광장에서 광화문 북측광장까지 대규모 퍼레이드가 펼쳐질 예정이다. 국민화합과 주제로 17개 시도, 이북 5도 등 2000여명이 참여하는 대규모 퍼레이드가 진행된다.

 

나라사랑 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유라시아 친선특급에서 사용했던 태극기와 함께 행진하며 군악대, 의장대, 취타대의 선도로 시도별로 지역 상징물 퍼레이드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편, 광복70년을 맞아 펼쳐지는 다양한 기념사업, 행사와 관련한 자세한 정보 등은 광복70년 기념사업위원회 홈페이지(www.korea815.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국무조정실 광복70년 기념사업추진기획단 02-2210-5205

2015.08.11 국무조정실

 

 

통계로 본 광복70GDP 31000배 이상 증가

최빈국 대열에서 세계 6위 수출국으로 급부상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총소득(GNI)이 근 70년 만에 420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액은 전 세계 수출 총액의 3.1%를 차지하며 세계 6위 규모로 올라섰다.

 

통계청이 10일 발간한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사회의 변화 책자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1953477억원에서 20141485조원으로 31000배 이상 증가하면서 세계 13위로 올라섰다.

 

1인당 GNI(국민총소득)는 같은 기간 67달러에서 28180달러로 420배가량 증가했다.

 

경제성장률

 

중앙정부, 지방정부, 기금을 합친 일반 정부의 GDP 대비 총지출 규모도 1970년에는 20%에서 지난해 32%로 증가했다.

 

19641억 달러에 불과했던 수출은 지난해 5727억 달러로 세계 6위 수출국으로 올라섰다.

 

수출품은 19060년대에는 철광석, 1970년에에는 섬유류, 1980년대에는 의류가 1위였다가 1992년부터 반도체가 1위로 올라섰다.

 

경상수지는 1990년대 중반까지 적자 기조를 보이다가 1998년 이후부터 흑자 기조로 전환됐다.

 

외환보유액도 지난해 말 3636억 달러로 외환위기이던 1997204억 달러보다 18배나 증가했다.

 

195348.2%이던 농림어업 비중은 지난해 2.3%로 감소했다. 이 과정에서 중화학공업육성정책으로 자동차는 세계 5, 선박 건조량은 세계 2, 철강 생산량은 세계 6위에 달하는 등 제조업 비중이 지난해 30.3%에 달했다.

 

수출규모, 무역의존도

 

서비스업은 1980년대 이후 비중이 크게 증가하면서 지난해 59.4%를 차지했다. 1997년 말 396.3%에 달했던 제조업 부채비율은 201392.9%로 대폭 줄었다.

 

남성 경제활동참가율은 1963201478.4%에서 73.7%로 감소한 반면에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37.0%에서 51.1%로 증가했다.

 

제조업 월평균 근로시간은 1970232시간에서 지난해 186.7시간으로 감소했다.

 

노동조합 조직률은 197725.4%에서 201310.3%로 줄어들었다.

 

소비자물가는 2014년이 1965년보다 36배 높았다.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한국의 총인구(내국인)19492017만명보다 2.4배 늘어난 약 4799만명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숫자는 2013158만명에 달했는데 이는 19482만명에 비해 79배 증가한 것이다.

 

해외관광이 크게 늘면서 1988년 처음 10억달러를 넘은 내국인 여행경비는 2014년 현재 200억달러에 근접하고 있다.

 

1946년 약 1000대에 불과하던 승용차 등록대수는 지난해 총 1575만대로 급격하게 늘었다.

 

여성경제활동 참가율은 196337%에서 201451.1%로 증가, 제조업 월평균 근로시간은 1970232시간에서 2014187시간으로 감소했다.

 

*문의 : 통계청 정보서비스팀 042-481-2420

2015.08.10 통계청

 

 

한강의 기적경제개발 5개년 계획 한눈에 본다

국가기록원, 광복70년 맞아 경제발전사 보여주는 자료 제공

 

세계 최빈국을 반세기만에 국민총생산 세계 13위의 경제강국으로 발전시킨 한강의 기적’, 우리나라 경제발전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기록 자료가 개발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광복70년을 맞아 19501990년대 경제개발계획을 담은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자료를 11일부터 국가기록원 누리집(www.archives.go.kr)을 통해 제공한다고 10일 밝혔다.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메인화면.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은 가난을 벗어나기 위한 국민들의 단결된 의지와 노력을 담은 경제개발계획의 주요내용과 관련 기록 549건을 연계한 서비스다.

 

광복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실상을 보여 줄 수 있도록 시기별 연표, 주요 통계, 차수별 비교표 등을 곁들였다.

 

특히 경제개발계획의 추진성과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국제원조, 수출증대, 산업발전, 국토건설, 저축장려 등 5개 주제를 주요이슈로 선정, 주요내용과 함께 관련 기록을 연계해 서비스한다.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1966)’자립경제 달성을 위한 기반 구축을 목표로 기간산업 확충과 사회간접자본 충족, 수출 증대, 기술진흥, 국토의 보전과 개발 등의 계획을 담고 있다.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1971)’산업구조의 근대화, 자립경제 확립 촉진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화학·철강 및 기계공업 건설, 식량자급, 과학 및 경영기술 진흥을 계획했다.

 

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21976)’성장, 안정, 균형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산업구조의 고도화, 국제수지 개선, 지역개발 등을 추진했다.

 

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71981)’성장·형평·능률의 이념 하에 자력성장구조를 확립하고 사회개발, 기술혁신 등을 이루기 위한 계획이었다.

 

5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821986)’안정·능률·균형의 이념 하에 물가안정, 고용 확대, 국토의 균형 개발 등을 목표로 했다.

 

6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871991)’능률과 형평을 토대로 한 경제선진화와 국민복지 증진을 목표로 7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921996)’‘21세기 경제사회의 선진화와 민족통일 지향을 목표로 각각 세부과제들을 추진했다.

 

신경제 5개년 계획(19931997)’선진 경제권 진입과 통일을 대비한 튼튼한 경제건설을 목표로 하고 성장잠재력의 강화, 국제시장 기반의 확충 등을 제시했다.

 

행자부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우리나라가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 비약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하는데 크게 기여한 경제개발계획 관련 기록을 통해 광복 70년의 의미를 짚어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문의: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콘텐츠기획과 042-481-6391

2015.08.10 국가기록원

 

 

우리나라는 세계사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의 고속성장 페달을 밟아왔다.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공식통계가 있는 1953년엔 66달러였다. 그러던 것이 2014년에 28180달러(1인당 국민소득) 수준으로 높아졌다. (그래픽=저작권자 (c) 연합뉴스)

 

출처 : 정책브리핑 NEWSLETTER>정책뉴스>문화 August 2015. Vol.360

 

 

 

출처 : Hodongking - THINK EDUCATION
글쓴이 : 호동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