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으로행복

[스크랩] 김문수 "내가 반대했지만 역사가 박정희 대통령 옳았단 것 증명"

good해월 2015. 12. 11. 18:24

김문수 "내가 반대했지만 역사가 박정희 대통령 옳았단 것 증명"

     

     

    입력 : 2015.12.10 15:04 | 수정 : 2015.12.10 16:12

    "대구가 '땅 짚고 헤엄치기'라고? 김부겸이란 强者가 버티는 곳"
    "내년 총선서 與 60% 이상 당선돼야 朴 정부 성공, 대한민국 전진 가능"
    "'난 친박' 발언, 변절 아냐...대통령 성공 없이 대한민국 성공 없다"

    ※이 기사는 새누리당 소속 김문수 전 경기지사가 조선닷컴 독자들이 게시판에 올린 질문에 답한 내용입니다.

    여권 내 유력 대선 주자인 새누리당 김문수 대구 수성갑 당협위원장은 경기 지역에서 오랫동안 정치활동을 해온 인물이다. 그는 지난 15대 총선에서 경기 부천 소사에 출마해 당선된 이후 그 지역에서만 내리 3선(選)을 했다. 2006년 경기지사에 당선된 뒤 2010년 재선(再選)에도 성공했다.

     

     

    그는 올해 초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혁신 작업을 주도했다. 그러던 그가 지난 6월 내년 총선에서 대구 수성갑 출마를 선언하고, 8월 그 지역 당협위원장을 맡았다. 경기지역을 발판으로 지지기반을 넓혀왔던 그가 경기도가 아닌 새누리당 텃밭인 대구로 내려간 데 대해서는 여러 해석이 나왔다. 일각에선 차기 대권을 노린 행보란 해석도 내놨다.



    김 전 지사는 경북 영천 출신으로 대구 경북중학교와 경북고등학교를 졸업한 대구 사람이지만, 그의 대구 수성갑 출마는 의외로 받아들여졌다. 조선닷컴 독자들도 김 전 지사가 대구로 내려간 이유를 궁금해 했다. ID ‘lovesam’ ‘gongming’ ‘loogun’을 쓰는 독자들은 “경기지사까지 지낸 대권 주자인 김 전 지사가 내년 총선에서 수도권 격전지가 아닌 대구 수성갑을 선택한 이유가 뭔가? 지역구도를 깨겠다는 새정치민주연합 김부겸 전 의원과의 맞대결을 선택한 이유가 뭔가” 물었다.

    이에 대해 김 전 지사는 “제가 고향으로 돌아온 것은 새누리당의 중심을 지키고 새누리당 박근혜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라고 답했다. 그는 “대구·경북은 새누리당의 중심이고, 수성갑은 대구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다”며 “그런데 이한구 의원이 불출마 선언하고, 대구 경제가 어려운 국면에서 야당에서 김부겸 전 의원이라는 강자(强者)가 대구에서 국회의원을 노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제가 대구 간다고 하니까 ‘땅 짚고 헤엄치기’라는 말을 하시는 분도 있는데 절대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김 전 의원은 지난 총선에서 40% 넘는 득표를 했고, 대구시장 선거에서도 전체 득표에선 권영진 시장에게 뒤졌지만 수성갑에서는 권 시장을 앞섰다”며 “절대 쉬운 지역이 아니다. 여론조사를 돌려 보아도 저 빼고는 김 전 의원에게 비슷하게라도 나오는 사람이 한 명도 없었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자신이 대구 수성갑에 출사표를 던진 이유는 ‘박근혜 정부의 성공과 대한민국의 전진’을 위해서라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지금 새누리당과 박근혜 정부는 국회 상황 때문에 제대로 일을 못하고 있다”“50%+1석이면 민주주의 기본원칙인 다수결 원칙에 따라 책임 정치를 할 수 있어야 하는데 53% 의석을 갖고도 선진화법 때문에 법안 통과가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정부가 아무리 국민을 위해 일하고 싶어도 일을 못하는 상황”이라며 “이래서는 나라가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또 “내년 총선에서 새누리당 후보들이 반드시 60% 이상 당선돼 박근혜 정부를 성공시키고 대한민국을 전진시켜야 하는데, 새누리당 심장부인 대구 수성갑을 야당에게 내주고는 절대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물론 정치를 오래 했던 경기도에서 출마했다면 후배 앞길 막는다는 욕도 안 먹고 당선도 더 쉬울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철저히 사적인 측면”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정치 시작하면서부터 일관되게 선공후사(先公後私)라는 신념을 갖고 살아왔다”며 “새누리당 박근혜 정부를 성공시키고, 대한민국을 위기에서 구해내겠다는 공적인 생각이 더 컸기에 대구 수성 갑 출마를 결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ID ‘jhhigh’를 쓰는 독자는 “과거 대학 재학 시절 노동운동을 위해 위장취업까지 하면서 반독재 투쟁에 앞장섰던 분이 최근엔 ‘나는 친박’이라고 했는데 소신이 변한 것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김 전 지사는 “대한민국 성공을 위해 대통령을 중심으로 통합하고 단결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김 전 지사는 “얼마전 김영삼 대통령께서 서거하셨는데, 저는 김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치에 입문했다”면서 “노동운동 하던 제가 왜 제도 정치권, 그것도 보수로 갔는지 궁금해 하시는 분들도 있지만 제게는 원래 노동운동하던 시절부터 확고한 목표가 세 가지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세 가지 목표로 ▲자유선거에 의한 민주정부 수립▲노동자들의 삶의 질 개선▲부정부패 추방을 통한 정의실현이라고 했다.

    김 전 지사는 “김영삼 정부는 자유 선거로 탄생한 최초의 문민정부로, 금융실명제 실시, 하나회 해체, 공직자 재산공개, 성역 없는 사정 등 문민개혁을 추진했다”면서 “제가 목표로 추진했던 목표와 뜻이 같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사회주의가 붕괴해서 전향한 게 아니냐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며 “‘노동자 천국’이라는 사회주의국가 노동자가 더 비참한 삶을 살고 있고,독재와 부정부패는 훨씬 심했다. 붕괴되고 나서야 제대로 알게 된 사회주의의 실상이 제 마음을 바꿨다”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이어 “사회주의로는 제가 꿈꾸던 이상과 목표를 이룰 수 없고, 보수정권이라던 문민정부가 제가 생각하는 개혁과 혁신을 더 잘 하고 있는 것이 명백한 때, 대통령의 부름을 받고 새누리당에 입당해 21년을 한결같이 당을 지켜왔다”고 말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은 훌륭한 분이다. 저 같은 사람들이 반대했으나 결국 역사가 옳음을 증명한 박정희 대통령의 따님이기도 하다”면서 “그러나 제가 ‘친박’이라고 한 것은 인간 박 대통령이라서뿐만 아니라 새누리당 정부 박근혜 대통령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김 전 지사는 “대통령의 성공 없이 정부의 성공 없고, 정부의 성공 없이 대한민국의 성공은 없다”며 “저를 비롯한 당원과 국민 모두가 대통령을 돕고, 대통령의 성공을 응원하며 함께 뭉쳐야 대한민국을 성공시킬 수 있다. 그렇기에 저는 임기 동안은 새누리당 당원 모두 ‘친박’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푸른산
    글쓴이 : 푸른산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