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최대 업적은 경제성장”
57.5%
“中, 영향력 가장 커질것” 55.6%…“올해 살기 좋아질 것” 71.1%
국민 5명 가운데 3명(57.5%)꼴로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우리 국민의 가장 큰 업적’을 ‘경제 성장’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남북 간 긴장 완화’(14.6%) ‘대외적인 국력 신장’(11.8%) ‘정치적 민주화’(11.3%) 등을 건국 이후 우리 국민이 성취한 주요 업적으로 꼽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동아일보가 여론조사기관인 코리아리서치센터(KRC)에 의뢰해 지난해 12월 26, 27일 전국 성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국 60주년-신년 여론조사’ 결과에서 이같이 나타났다.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의 가장 자랑스러운 분야로는 ‘과학기술 수준’(35.6%)을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고 ‘스포스 수준’(25.3%), ‘경제적 위상’(19.4%), ‘예술과 문화 수준’(8.9%) 등이 뒤를 이었다.
미흡한 분야로는 ‘정치적 위상’(60.6%)을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다.
대한민국 60년 역사상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인물로는 박정희 전 대통령(71.3%)을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고, 이어 김대중 전 대통령(8.1%) 백범 김구 선생(2.6%) 정주영 전 현대그룹 명예회장(1.6%) 노무현 대통령(1.5%) 순이었다.
‘정부 수립 이후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각계각층의 부정부패’(29.4%)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소득 양극화 현상의 심화’(23.7%), ‘정치적 불안정’(18.6%), ‘물질 만능주의’(7.2%), ‘집단 이기주의’(7.2%) 등이 뒤를 이었다.
건국 이후 우리나라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국가로는 미국(87.6%)이 가장 많이 꼽혔고, 향후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국가로는 중국(55.6%)이 1순위로 지목됐다.
자녀가 장래에 갖기를 희망하는 직업으로는 공무원(20.6%)이 1위에 꼽혔고, 교사(8.6%) 의사·한의사(7.9%) 교수·과학자(7.7%) 사업가(4.7%) 엔지니어·전문기술직(4.4%) 변호사·판사·검사(4.2%) 등이 뒤를 이었다.
2월 25일 취임 예정인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국정 운영 전망과 관련해 국민 10명 가운데 8명 이상(86.0%)은 ‘잘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응답자의 71.1%는 2008년 한 해 우리 사회가 ‘살기 더 좋아질 것’이라고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의 집권과 관련해서는 ‘현 정부에 대한 실망 때문’(61.8%), ‘이명박 후보에 대한 기대감 때문’(35.1%)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최고 업적, 박정희
71.3%… 경제는 정주영 46.1%
■ 한국 이끈 인물
‘박정희 전 대통령의 힘.’
박 전 대통령은 △대한민국 건국 이래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인물 △역대 대통령 중 정치 발전에 가장 큰 업적을 남긴 대통령 △경제 성장에 가장 큰 업적을 남긴 대통령을 묻는 질문에서 모두 1위로 꼽혔다.
예시 인물 없이 주관식으로 ‘대한민국 건국 이래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은 누구냐’라고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71.3%가 박 전 대통령이라고 답했다. 다음은 김대중 전 대통령(8.1%), 김구 선생(2.6%), 정주영 전 현대그룹 회장(1.6%)이었고 노무현 대통령은 1.5%를 얻었다. ‘정치 발전에 가장 큰 업적을 남긴 대통령’은 박 전 대통령(64.3%) 다음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14.1%)이 꼽혔다. 그 다음은 노무현 대통령(5.0%), 이승만 전 대통령(2.2%), 전두환 전 대통령(2.0%), 김영삼 전 대통령(1.9%) 순이었다.
경제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대통령을 묻는 질문에는 박 전 대통령을 지목한 사람이 80.0%로 압도적이었고 이어 전 전 대통령(6.1%), 김대중 전 대통령 4.1%, 노 대통령 1.3%였다.
한국 경제 발전에 가장 큰 업적을 남긴 경제인을 꼽아 달라는 질문에는 정주영 전 회장이라는 답변이 46.1%로 가장 많았다.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은 9.8%, 이병철 전 삼성그룹 회장은 9.6%였다. 이 질문에 대해서도 박 전 대통령을 꼽은 응답자가 9.4%였으며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이라는 답변도 1.3%가 나왔다.
KRC 측은 “경제 발전에 대한 향수가 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경제적 업적 평가에 영향을 미친 것 같다”고 분석했다. ===================================================
“통일, 시간 두고
신중히” 53.8% “빨리 해야” 10.9%
자녀 직업 공무원 가장 선호… “자식 뜻대로” 17.3%
“한국사회 가장 큰 문제는 각계각층 부정부패” 29.4%
‘과학·스포츠 분야 세계에 내세울 만하지만 정치는 부끄러워….’
지난달 26, 27일 실시한 동아일보와 코리아리서치센터(KRC)의 ‘건국 60주년-신년 여론조사’ 결과 우리 국민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위상을 가장 높게 평가했다.
과학기술에 대해서 ‘높다’고 평가한 사람은 전체의 55.3%였다. ▽과학기술 분야, 젊은 층에서 더 긍정적 평가=과학기술 다음으로 위상이 ‘높다’는 평가를 많이 받은 분야는 스포츠 분야(54.5%)였다. KRC 측은 “인터넷·이동통신 등 정보통신 분야의 강세와 김연아, 박태환 선수 등 국내 선수의 국제무대 진출 등이 과학기술과 스포츠 부문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영향을 끼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과학기술 수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20대(68.3%)와 학생(75.1%) 등 젊은 층에서 비교적 높았고, 스포츠 수준은 50대 이상(60.1%)과 주부(60.0%) 계층에서 상대적으로 평가가 더 좋았다.
반면 정치 분야의 국제적 위상에 대해서는 ‘높다’고 답한 사람이 7.8%에 불과했으며 ‘낮다’는 답은 52.0%로 절반이 넘었다. 특히 30대(56.9%)와 40대(57.0%), 화이트칼라(57.8%), 자영업자(57.9%)에서 정치 분야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더 많았다.
자녀가 갖기를 바라는 직업에 대한 선호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공무원(20.6%)이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공무원 자녀’에 대한 선호는 대부분의 계층에서 높은 가운데, 50대 이상(26.9%), 대전 충청(33.0%), 읍면지역(27.0%), 농림수산업 종사자(31.5%), 중학교 졸업 이하(34.1%) 계층에서 특히 높았다.
▽“경제 성장 이뤘지만 부패·양극화가 문제”=응답자들이 꼽은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한국 국민이 이룬 가장 큰 업적’은 경제 성장(57.5%)이었다.
거의 모든 계층에서 경제 성장을 건국 이래 최대 업적으로 꼽은 가운데 특히 1950, 60년대를 경험한 40대(61.7%)와 50대 이상(61.3%)에서 경제 성장에 대한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1998년 한국갤럽이 같은 내용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을 때 ‘경제 성장’ 항목을 꼽은 사람은 39.3%였다.
정부 수립 이후 한국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각계각층의 부정부패’(29.4%)와 ‘소득양극화 현상 심화’(23.7%)가 꼽혔다. 1998년 한국갤럽 조사와 비교했을 때 ‘부정부패’라는 응답은 10년 동안 46.6%에서 29.4%로 크게 감소했지만 소득양극화를 꼽은 응답자는 13.1%에서 23.7%로 10%포인트 이상 늘었다.
소득양극화가 한국 사회의 문제점이라는 응답은 20대(30.5%)와 30대(33.8%)에서는 30% 이상으로 높은 호응을 얻은 반면 40대(18.9%)와 50대 이상(15.0%)에서는 그렇다고 보는 사람이 상대적으로 적어 세대에 따라 인식 차이를 드러냈다.
부정부패가 우리나라의 문제점이라는 응답은 농림수산업 종사자(34.0%)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화이트칼라(20.3%)에서는 비교적 낮았다.
이번 조사는 지역별 성별 연령대별 인구비례에 따른 할당추출법으로 표본(전국 성인 남녀 2000명을 2개 집단으로 나눠 각각 1000명)을 선정해 전화면접으로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9.5%다.
▼“통일 막는 가장 큰 요인은 비용” 32.7%
‘한국에 위협국가’ 中40.1%-北25.9%▼
■ 통일 및 주변 국가 인식
동아일보와 코리아리서치센터(KRC)의 ‘건국 60주년-신년 여론조사’ 결과 대다수 국민이 남북통일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 시점과 방안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의 53.8%는 ‘남북한이 이질적인 만큼 시간을 두고 통일이 돼야 한다’고 답변했다.
응답자 34.9%는 아예 ‘남한과 북한이 통일 국가를 이루기보다는 독립된 두 개의 국가로 평화적 관계를 유지하며 공존하는 게 더 낫다’는 의견이었다.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 통일이 돼야 한다’고 답변한 사람은 10.9%에 그쳤다.
연령이나 지역,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대부분 계층에서 50% 안팎의 응답자들이 ‘시간을 두고 통일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평화적 관계를 유지하며 독립된 국가로 공존해야 한다’는 의견은 6·25전쟁을 경험한 50대 이상 연령층(38.2%)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남북한 통일을 가로막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막대한 경제적 비용’이라는 답변이 32.7%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남북 권력층의 거부감(25.7%) △주변 강대국들의 반대(22.6%) △남북 주민 간의 가치관 차이(15.3%) 등의 순이었다.
통일의 장애요인에 대해서는 ‘막대한 경제적 비용’이라는 응답은 자영업자(40.2%)와 블루칼라 계층(37.2%)에서 상대적으로 많았고, ‘주변 강대국들의 반대’라는 의견은 학생(33.5%)과 농림수산업 종사자(33.8%)에서 비교적 높았다.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유럽연합(EU) 북한 등 주변 6개국(국가연합 포함)을 기준으로 ‘가장 호감이 가는 나라’를 물어본 결과 미국(37.6%)이 1위를 차지했다. 미국은 ‘정부 수립 후 한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나라’를 꼽아 달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87.6%로 압도적인 답변을 얻었으나 동시에 ‘통일에 가장 장애가 되는 나라’에서도 1위(40.9%)로 꼽혔다. KRC 측은 “미국을 보는 우리 국민의 시각이 그만큼 복잡하다”고 해석했다.
중국은 ‘앞으로 한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국가’(55.6%)이면서 ‘한국에 가장 큰 위협이 되는 국가’(40.1%)로 나타났다. 냉전시대를 보내고 그만큼 가까워진 경제적 사회적 거리가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가장 큰 위협이 되는 국가’로 중국 다음으로 꼽힌 나라는 북한(25.9%)이었다. 아직까지 해소되지 않은 북핵 문제 등 안보에 대한 위험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거부감이 드는 국가’로는 일본(39.1%)이라는 대답이 북한(20.9%)보다 더 많았다. 다음은 미국(16.4%), 중국(14.1%) 등의 순이었다. |
'애국으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셔온자료>프랑스 국제장애인기능올림픽대회, 6연패 달성 쾌거! (0) | 2016.03.28 |
---|---|
[스크랩] 빼앗긴 한쪽 발 `대마도(對馬島)` (0) | 2016.03.27 |
[스크랩] `대마도 반환` 이승만 요구, 김일성이 막다! (0) | 2016.03.25 |
[스크랩] “백제는 동아시아의 로마였다” (0) | 2016.03.25 |
[스크랩] 중국에게서 간도 되찾는 다섯가지 방법은 (0) | 2016.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