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AP연합뉴스) |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가 지난 20일(현지시간) "30년 내 지구를 떠나야 한다"고 경고하면서 지난 2012년, 기승을 부렸던 지구멸망설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BBC, 텔레그래프 등 외신에 따르면, 호킹 박사는 지난 20일 노르웨이에서 열린 천체우주과학축제인 스타무스 페스티벌에서 "소행성 충돌과 인구 증가, 기후변화 등으로 지구가 사람이 살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되는 건 시간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소행성 충돌에 대해서 "이건 과학 소설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소행성 충돌 위험성에 대해서는 호킹 박사는 물론 전세계 천문학자들이 오랜시간 경고해왔으며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전문기구도 만들어왔다. 세계적인 천문자들이 모인 국제기구인 국제우주아카데미는 지난 2004년 이후 '행성방어회의(Planetary Defense Conference·PDC)'를 매년 개최하고 있으며 올해엔 지난 5월 개최돼 24국 우주연구 관계자 200여명이 참석했다. 미항공우주국 나사(NASA)에서는 지난해 소행성 충돌사태 전문부서로 PDCO(Planetary Defense Coordination Office)를 설립하기도 했다.
![]() |
지난 2013년, 러시아 첼랴빈스크에 떨어진 소행성 파편 모습(사진=AP연합뉴스) |
특히 지난 2013년 2월, 러시아 우랄산맥 부근인 첼랴빈스크에 운석이 떨어져 건물 4500여채가 파괴되고 1500여명이 부상을 입는 재난이 발생하면서 소행성 충돌은 더 이상 좌시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이 됐다. 첼랴빈스크에 떨어진 소행성 파편은 지름 17~20m 정도였다. 이것의 5배 정도 되는 지름 100m 짜리 운석이 뉴욕과 같은 대도시에 떨어지면 핵폭발 수십배의 위력으로 도시 전체는 물론 반경 10km 내 지표상 물체 대부분이 파괴될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소규모 운석들은 언제 어떻게 떨어질지 예상도 하기 힘든 상황이다. 지난 2010년까지 천문학자들을 비롯해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발견한 소행성 숫자만 23만개가 넘는다. 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에 수백만개가 떠도는 것으로 추정되고 천왕성 밖에 태양계 외부에도 수없이 많은 소행성군이 밀집해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