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 立春)
춘축 오늘날도 일부에서 대문이나 대들보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인다.
내용 음력 1월, 양력 2월 4일경이며, 태양의 황경이 315°에 와 있을 때이다. 봄으로 접어드는 절후로 음력으로는 섣달에 들기도 하고 정월에 들기도 하며,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들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다. 정월은 새해에 첫번째 드는 달이고, 입춘은 대체로 정월에 첫번째로 드는 절기이다.
입춘은 새해를 상징하는 절기로서, 이날 여러가지 민속적인 행사가 행해진다. 그 중 하나가 입춘첩(立春帖)을 써 붙이는 일이다.
이것을 춘축(春祝)·입춘축(立春祝)이라고도 하며, 각 가정에서 대문기둥이나 대들보·천장 등에 좋은 뜻의 글귀를 써서 붙이는 것을 말한다.
한편, 옛날 대궐에서는 설날에 내전 기둥과 난간에다 문신들이 지은 연상시(延祥詩) 중에서 좋은 것을 뽑아 써 붙였는데, 이것을 춘첩자(春帖子)라고 불렀다.
사대부집에서는 흔히 입춘첩을 새로 지어 붙이거나 옛날 사람들의 아름다운 글귀를 따다가 쓴다. 제주도에서는 입춘일에 큰굿을 하는데, ‘입춘굿’이라고 한다. 입춘굿은 무당조직의 우두머리였던 수심방 [首神房 : 큰무당]이 맡아서 하며, 많은 사람들이 굿을 구경하였다.
이 때에 농악대를 앞세우고 가가호호를 방문하여 걸립(乞粒)을 하고, 상주(上主)·옥황상제·토신·오방신(五方神)을 제사하는 의식이 있었다.
입춘일은 농사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첫번째 절기이기 때문에 보리뿌리를 뽑아보고 농사의 흉풍을 가려보는 농사점을 행한다. 또, 오곡의 씨앗을 솥에 넣고 볶아서 맨 먼저 솥 밖으로 튀어나오는 곡식이 그해 풍작이 된다고 한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戊戌年春滿天地福滿家
戊戌年 立春帖 봄이 온 천지에 가득하면 복이 온 집 안에 가득하다
입춘2018년도18시28분부터 시작 인류는 자연조건을 활용하려는 욕망으로 우선 밤과 낮 달과 태 양의 변화 현상과 그 주기를 읽어내려고 했다
동양은 달을 중심으로 물때를 맞춘 음력이고 서양은 태양의 영향을 받아 생육한 태양력을 창안했다
동양에서도 태양의 현상을 적용할 필요성을 인식해 만든 것이 개 절 기력이다 입춘 우수 경칩.......
윗글 퐁당퐁당회원님 해정 박종길님 모란에게 보낸 메일에서
입춘이란?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입니다. 입춘날짜는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하고요.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일 때로 이날부터 봄이 시작됩니다~ 입춘은 음력으로 주로 정월에 드는데, 어떤 해는 정월과 섣달에 거듭 드는 때가 있는데요. 이런 경우 ‘재봉춘(再逢春)’이라 한답니다.
입춘대길 뜻에도 관심이 모아지는데요~
입춘대길이란?
立春大吉 설립, 봄춘, 큰대, 길할길. 입춘을 맞이하여 吉運(길운)을 기원하는 글, 문구입니다.
입춘대길건양다경뜻은? 입춘대길 건양다경 (立春大吉 建陽多慶)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 인사말(입춘인사말)로 써도 좋겠죠?
입춘대길 붙이는 시간? 오늘 2016년 2월 4일, 오후 6시 46분 입춘시간에 붙여야 효험이 있다고 전해진다네요~
입춘대길 건양다경 붙이는 방법? 입춘대길 붙이는 법은 입춘축 붙이는 곳에 따라 내용이 다르다는데요?! 과거이겠지만.. 큰방 문 위의 벽, 마루의 양쪽 기둥, 부엌의 두 문짝, 곳간의 두 문짝, 외양간의 문짝에 붙이는 입춘축은 각기 다르답니다..
입춘날엔 다양한 세시풍속이 전해져 오는데, 예로부터 좋은 일,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입춘축(立春祝)을 대문이나 문설주에 붙였답니다. 이를 입춘첩(入春帖) 또는 춘첩자(春帖子), 입춘방(立春榜) 이라고 한답니다.
입춘축을 붙이면 '굿 한번 하는 것보다 낫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옛날부터 가정에선 입춘이 되면 좋은 일,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길 바라는 마음으로 집 대문에 '입춘대길(立春大吉)'이나 '건양다경(建陽多慶)'과 같은 입춘축을 붙이며 가정의 행복과 평안을 기원했답니다~~!!
입춘이라는 시에도 관심이 모아지는데요.. 입춘 관련속담으론 '이월에 물독 터진다, 가게 기둥에 입춘이라, 입춘 거꾸로 붙였나, 입춘에 장독"오줌독" 깨진다, 입춘추위는 꿔다 해도 한다.' 등이 있답니다..
최고의 관심사~ 입춘에 먹는 음식? 명태순대, 오신채(五辛菜), 세생채(細生菜) 등... 겨울에먹는매운음식..
입춘에 먹는 음식 중 하나인 오신채는 다섯 가지 매운 맛과 색깔이 나는 햇나물 모듬으로 겨우내 결핍된 신선한 야채를 보충하기 위해 먹는답니다.
예로부터 시대와 지방에 따라 다른 햇나물을 눈 밑에서 캐내 임금님 수라상에도 올렸다는데요. 오신채는 궁에선 임금을 중심으로 하여 사색당쟁을 초월하라는 정치 화합의 의미였답니다.
또 일반 백성들에겐 인, 예, 신, 의, 지를 증진하여 가장을 중심으로 가족의 화목을 이루는데 의미가 있었다는군요.
또 입춘에 먹는 음식 오신채는 자극이 강하여 남자들에게 정력을 왕성하게 하는 음식으로 손꼽혔답니다. 절간의 수도승은 오훈을 금한다고 했는데 그 오훈이 정욕을 자극하는 오신채를 의미한답니다. 이상, 입춘에 대해 전해드렸고요~
"봄이 시작되니 크게 길하시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많이~~~ 생기기를 기원합니다...!"
[2018년 입춘]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 입춘
예전부터 1년은 춘, 하, 추, 동 4계절로 나뉘는데요. 이를 다시 태양 각도에 맞춰 15일 간격으로 등분해 24절기로 나눕니다.
24절기 중 입춘은 첫 번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해당하는데요. 입춘(立春)이란 말 그대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새해 첫 절기를 의미한답니다. ◐2018년 24절기 (二十四節氣)
◐2018년 24절기 (二十四節氣) | | | | | | | | | | | | | 봄 (春) | | | | | | | | 절기 양력 음력 절입시간 특징 | | | | | | 입춘 (立春) 2018년 02월 04일 2017년 12월 19일 07시 34분 봄의 시작
글을써 인터넫에 올려 주신분들 감사합니다 올해에는 모든일이 다 이루어 지시기 바랍니다. 입춘절식(立春節食)이란, 입춘일 절기에 맞추어 먹는 음식으로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오신채, 세생채 등이 있습니다.
1) 오신채(五辛菜).
오신채는 다섯 가지 매운맛이 나는 나물로 입춘채(立春菜)·오신반(五辛盤)이라고도 합니다.
눈 밑에 난 햇나물로 자극성 있는 맛과 비타민 C를 함유해 겨우내 결핍되었던 영양분을 신선한 채소로 보충하고 봄철 잃기 쉬운 입맛을 돋우었습니다.
오신채 종류로는 파, 삽주싹, 당귀싹, 산갓, 미나리싹, 무싹, 파, 마늘순, 달래, 부추, 유채 등 봄철 채소의 새순이나
싹 입니다.
이렇게 먹는 오신채에는 음양오행의 의미를 담아 다섯 가지 색깔 나물로 먹었는데요. 오색은 청색, 적색, 황색, 흰색, 검정색으로 각각 인, 예, 신, 의, 지를 의미합니다.
다섯가지 색깔 나물과 오신채를 함께 넣은 비빔밥이나 봄 향기가 가득한 신선한 샐러드로 맛있는 식사를 해도 좋겠습니다.
입춘일에는 궁중은 물론 서민들도 다섯 가지 색깔의 오신채를 먹으면 다섯 가지 덕(仁, 義, 禮, 知, 信)을 모두 갖추게 되고 신체 기관이 균형과 조화 를 이룬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는 다섯 가지 괴로움, 인생오고(人生五苦:生,老,病,死,愛別離)가 있다고 하는데요. 다섯 가지 맵고 쓴 오신채를 먹으며 그 고통을 참으라는 교훈도 담고 있습니다.
2) 명태순대.
입춘 때에 전통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명태순대'가 있는데요. 명태순대의 경우 함경도, 강원도에서 만들어 먹었던 음식으로써 해당지역에서는 봄나물 대신 명태순대를 먹었다고 하네요. 내장을 빼낸 명태 뱃속에 채소를 채워 만든 순대로 '동태순대'라고도 불립니다.
또한 지역별로 입춘일에 먹는 음식이 다른데요. 경상남도는 팥죽을 끓여먹고, 충청도는 보리밥을 해먹으며, 함경남도에서는 입춘일에 무를 먹으면 늙지 않는다 하여 무를 먹기도 합니다.
절기에 맞게 볼 수 있는 제철채소와 제철과일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식품이지요~ 입춘일을 맞아 오신채를 활용한 비빔밥이나 샐러드 등을 먹고 입춘축을 붙이고 주위 사람들과 좋은 글귀를 나누어 올해의 풍성함을 기원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한해의 시작은 1월이지만, 온갖 만물의 탄생과 소생을 알리는 입춘을 24절기 가운데 첫 번째로 두어 또 다른 의미의 새해 시작점이라하지요!
입춘을 맞이하여 울님 모두에게 큰 복(福)이 들어와 1년 내내 좋은 일만 있으시기를 기원(祈願)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