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으로행복

[스크랩] 한국인 절반 이상은 ”결혼하지 않아도 돼”

good해월 2018. 11. 7. 09:48

올해 13세 이상 국민 절반 이상이 결혼을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여기는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18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의 비율은 48.1%로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50% 밑으로 떨어졌다. ‘남녀가 결혼을 하지 않아도 살 수 있다’는 응답은 56.4%에 달했다. 통계청은 전국 2만5843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9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6월 조사를 진행했다.

결혼하지 않아도 좋다는 응답은 해마다 가파르게 늘었다. 2010년 40.5%, 2012년 45.9%, 2014년 46.6%, 2016년 48.0%였다. 2016년과 비교해 2년 새 8.4%포인트가 증가한 것이다. 거꾸로 결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2010년 64.7%에서 2012년 62.7%, 2014년 56.8%, 2016년 51.9%로 하락했다.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답한 사람은 46.6%,이었고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자도 3.0%였다. 나머지 6.8%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는 응답은 2016년 42.9%와 비교해 3.7%p 늘었고, ‘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은 0.1%p 각각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남성(52.8%)이 여성(43.5%)보다 높았다. 결혼에 대한 반대 의견은 상대적으로 여성(3.8%)이 남성(2.2%)보다 높았다.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생각에는 30.3%가 동의했다.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69.6%로, 남성(72.6%)이 여성(66.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식 문화에 대해서는 70.6%가 과도한 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세 이상 남녀 59.1% "가사는 공평하게 분담"

가사는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올해 59.1%로 2008년 32.4%에 비해 2배 가까이로 증가했다. 가사를 부인이 주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08년 66.5%에서 올해 38.4%로 낮아졌다.

실제로 가사를 부인이 주도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공평하게 분담하거나 남편이 주도하는 경우는 증가했다. 연령대 별로는 19∼29세가 공평하게 분담하거나 남편이 주도하는 비율 49%로 높고 40∼50대는 부인이 주도하는 비율이 80%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족 중에는 자녀와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75.6%로 가장 높았다. 배우자와의 관계는 남성은 75.8%, 여성은 63.0% 만족해 부인보다 남편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와 함께 사는 부모의 비율은 27.1%로 2008년(38.0%)에 비해 10.9%p 줄었다, 부모와 자녀가 동거하는 비율은 2010년 35.3%, 2012년 33.7%, 2014년 31.4%, 2016년 29.2%로 하락하는 추세다. 부모만 따로 사는 경우는 69.5%로 2008년(60.2%)에 비해 9.3%p 증가했다. 부모 스스로 생활비를 해결하는 비율은 55.5%에 달했다.


◇30대 가구주 92%, "학원비 때문에 부담"

소득에 비춰볼 때 자녀교육비가 부담된다고 응답한 가구주의 비율은 64.4%로, 2016년 조사 때보다 0.9%p낮아졌다.

교육비 부담을 느끼는 요인으로 학원비 등 보충 교육비(이하 '학원비')를 선택한 비율이 65.2%로 가장 높았다. 학원비를 꼽은 비율을 연령대별로 보면 30대가 92.1%로 가장 높았고 40대가 77.5%, 50대 38.7%, 60세 이상이 19.2%였다.
대학생은 반 이상이 등록금을 부모 등 가족에게 의존하고 있고 그 비율은 2년 전보다 높아졌다.

2018년 1학기 대학생 등록금 마련 방법을 물은 결과 59.7%가 부모(가족)의 도움을 받았다고 답했다. 이는 2년 전 조사 때보다 1.7%포인트 올랐다. 부모의 도움으로 등록금을 마련한 이들의 비율을 소득 수준으로 구분해보면 가구 월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600만원 미만인 계층이 7 5.2%로 높았고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이 47.5%로 가장 낮았다.

장학금으로 등록금을 대신했다고 답한 비율은 25.0%, 대출로 등록금을 해결한다고 답한 이들은 9.0%, 스스로 마련한다는 응답은 6.0%였다.

4년제 대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기를 원하는 비율은 학생 82.7%, 부모의 90.7%로 2년 전보다 각각 2.2%p, 0.2%p 하락했다.


조선비즈     입력 2018.11.06


출처 : 해암의 일상
글쓴이 : 해암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