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사람들

[만물상] 미스터트롯, 고맙다

good해월 2020. 3. 17. 07:21
선대 어르신들은 백년설·고복수·이난영 같은 가수가 없었다면 1930년~1940년대 그 막막한 시절을 어찌 견뎠을까. 일제의 문화 탄압이 극심했던 당시 고복수 '타향살이'(1934), 이난영 '목포의 눈물'(1935)은 조선일보가 후원하거나 현상 공모한 행사를 통해 세상에 나왔다. 백년설 '나그네 설움'(1940)은 '오늘도 걷는다마는 정처없는 이 발길/ 지나온 자국마다 눈물 고였다~'고 시작하는 첫 소절부터 나라 잃은 설움에 눈시울을 적셨다.

▶6·25 직후 현인 '굳세어라 금순아'(1953), 남인수 '이별의 부산 정거장'(1954) 같은 노래가 없었다면 전쟁으로 꺾인 무릎을 어찌 다시 펴고 나라 재건의 기운을 차릴 수 있었을까. 누구는 지게 목발 두드리다가 누구는 아궁이 앞에서 부지깽이 털다가 그대로 트로트 박자가 됐다는데, 그 덕에 팍팍한 세월을 뚫고 나갈 수 있었다. '파'와 '시'를 뺀 '도레미솔라' 단조 5음계와 흔히 '뽕짝'이라 부르는 2박자 가락이 우리 성정(性情)에 딱 맞았다. 

[만물상] 미스터트롯, 고맙다
▶올 들어 TV조선이 방영한 12부작 '내일은 미스터트롯'이 주말에 최종순위를 가렸다. 지난 10년 지상파·종편 다 합쳐 35.7%라는 최고 시청률과 함께 하나의 '문화적 사건'으로 기록됐다. 이번 르네상스 열풍은 비주류로 밀려있던 트로트를 화려하게 전면 무대로 호명했을 뿐 아니라, 진짜배기 '우리 것'을 즐긴다는 자긍심을 심어주었고, 젊은이까지 열광케 하는 통세대적 장르로 금의환향했다. 더욱이 '코로나 사태'라는 국가적 비상 상황 속에서 거둔 성과다.

▶트로트는 1970년대를 고비로 포크 음악 같은 서양풍 장르가 유입되면서 뒷전으로 밀리는 조짐이었고, 1990년대에 이르면 급격한 쇠퇴를 겪는다. 물론 이미자·남진·나훈아·현철·송대관·태진아·심수봉·설운도·주현미 같은 빛나는 이름이 맥을 잇긴 했으나 전체 음악 시장으로 보면 앞자리가 아니었다. 2000년대 들어 '어머나'의 장윤정을 비롯, 박상철·박현빈·홍진영 같은 젊은 가수가 쏟아져 그나마 숨통이 틔었다.

▶'미스터트롯'은 결승전 날 문자 투표의 대폭주로 우승자를 정하지 못하는 곡절까지 겪었다. 그러나 "국민이 힘들고 어려웠던 때에 큰 위안을 줬다"는 응원이 많았다. 특히 저마다 어려운 가정 사연을 가진 출연자들이 고난을 딛고 일어서는 모습이 국민을 감동시켰다. 트로트는 과거에도 국민의 겨드랑이를 부축해준 손길 같았다. 이번에도 그랬다. 오랜만에 3대가 한자리에 모여 행복했다고들 했다. '미스터트롯'이 있어서 고마웠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15/2020031501387.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