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의 의미와 효과
- 다음 카페 '인연'에서 -
절은 마음 속의 불심을 부처님께 나타내는 수행의 한 행위입니다. 그러면 절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와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절의 의미
1) 절은 존경의 표시라 할 수 있습니다.
신체의 가장 윗 부분인 머리를 숙임으로써 자기를 낮추고 상대방을 높히는 예의이며 존경하여야 할 대상에게 자기의 마음을 나타내는 행위입니다. 절하는 형식에 있어서도 오체투지를 하여 최고의 경의를 표하는 큰 절, 허리를 90도 구부리는 반 배, 목만 가볍게 구부리는 목례 등이 있으며 이는 상대방에게 어느 정도의 예우를 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행해집니다.
그러나 절은 형식적인 외양보다 마음에서부터 우러나오는 존경심과 경건한 자세가 가장 중요한 것입니다.
2) 절은 자기를 낮추는 겸손의 표시입니다.
자기를 낮추는 겸손과 하심의 표시이므로 오만하거나 자기를 내세우는 마음이 깃들인 절은 진정한 의미의 절이라 할 수 없습니다. 권력이나 돈이 있다던지 사회적 지위가 높다하여 우쭐대거나 잘난척하는 마음으로 절을 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행위인지 알아야 합니다.
3) 절은 최고의 수행이요 공덕입니다.
절은 불교 수행의 필수요건으로 심신의 단련과 수행방법으로 널리 행하여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108배, 1000배, 3000배 등 절을 많이 할 것을 권장합니다. 절을 하면서 정신집중이 되어 무아의 경지로 몰입하여 부처님을 생각하고 기도하는 그 시간은 집착도 번뇌도 깃들일 여지가 없어지므로 절을 가장 훌륭한 수행이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절을 많이 하여 절의 오묘한 영험과 매력을 경험한 분들은 매일 더 많이 절을 하고 기도하여 소원을 성취하고 신심을 돈독히 하는 것입니다.
2. 절의 효과
절의 정신적 효과는 절의 의미에서 이해되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신체적인 효과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합니다.
1) 절은 가장 훌륭한 전신운동으로 건강에 특효가 있습니다.
절은 움직임 하나 하나에 대우주의 법이 깃들어 있어 요가의 압축판이라고도 합니다. 절을 많이 하면 땀이 나와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켜 각종 성인병을 낫게 하며 허약하거나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가장 좋은 건강운동법의 하나라 할 것입니다.
2) 절은 체내 정전기를 방출합니다.
TV나 라디오를 오래 켰다가 껐을 때 내부에 남아 있는 예열을 속히 빼주지 않으면 기계의 성능이 떨어지고 고장이 생기기 때문에 아스로 정전기의 예열을 빼주는 것입니다. 사람 몸도 기계와 같아 운동을 하거나 내부기관들의 활동으로 축적된 내부 예열인 정전기를 속히 빼주지 않으면 체내 기관에 이상이 생깁니다.
그런데 절을 하면 오체투지가 되어 체내 예열인 정전기가 땅과 접하는 오체를 통하여 전도체인 지구로 빠져나감으로서 내부기관이 고장날 염려가 없습니다.
평상시에는 두 발만의 아스로 체내 예열을 배출하지만 절을 하면 5개의 아스로 정전기를 배출하기 때문에 절을 많이 할수록 체내 정전기가 잘 배출됩니다. 절이야말로 정신적으로는 겸손함과 하심을 갖게 하는 수행의 효과를 주고 육체적으로는 가장 좋은 무공해 운동이 되어 건강 증진에 탁월한 효과를 준다는 사실을 확실히 아시고 절을 많이 하시기 바랍니다.
SBS스페셜 0.2평의 기적, 절하는 사람들
방송 : 4월 8일(일) 밤 11시 05분 제작 : 안중섭(리스프로)
- sbs 홈페이지에서-
[기획의도]
몸을 낮추어 바닥에 엎드리는 행위인 ‘절’은 세계 각 국의 求道者들이 선택한 오랜 수행법이었다.
자신의 몸을 낮추어 몸의 다섯 곳을 닿게 하는 절이란 행위는 몸을 통해 부질없는 집착을 하나하나 비워가는 수행의 일종이다. 그런데 이런 수행법이 현대인들에게 큰 각광을 받고 있다. 스트레스가 극심해지는 현대인에게 절은 마음의 평화와 질병을 고쳐주는 웰빙 프로그램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절이란 행위를 통해, 몸과 마음의 평안을 경험한 사람들의 경험을 토대로 절(拜)이 인간의 몸과 마음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고자 한다.
왜 몸을 움직이면 마음의 평화가 오는가? 평화를 부르는 몸과 마음의 오묘한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밝혀본다!
온 몸의 관절을 풀어주는 웰빙 운동으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절. 과연 운동으로의 절은 어떤 효과가 있길래, 난치병을 고치는 등 기적과 같은 경험을 강변하는 것일까? 단순히 경험에 그치는 임상모음이 아니라, 그 원리를 과학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절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심음과 동시에, 현대인의 과제인 몸과 마음의 평화에 이르는 다양한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작방향]
과학적인 접근
-절을 통한 생체적 변화 실험/ 다른 운동과의 운동효과 비교/ 등 다양한 과학적 실험을 통해 절운동의 특징과 효과, 그리고 인간의 몸과 마음에 미치는 영향을 새롭게 분석한다.
감성적 접근
-오랜 전통을 가진 수행법 중에 하나인 절을 단순한 운동요법으로 치부하지 않기 위해서 절을 하 는 사람들의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강조한다. 자신을 가장 낮출 수 있는 마음의 다이어트 운동을 붐으로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구성내용
-절로 희귀병 등을 고친 사람들의 이야기: 매일 천배로 뇌성마비를 극복한 한경혜씨외 다수.
-한의와 양의로 분석한 절의 효과: 108배 치료법을 내놓은 한의사 김재성/가톨릭대학과 면역학과 탬과 다양한 실험 시도
-다른 운동과의 비교실험을 통한 절운동의 특징 찾기
-미국에 불고 있는 한국 불교 붐과 호주의 절수행 열풍- 절에 빠진 외국인
-미국 대체의학 연구소(NCCAM)의 ‘참선’ 및 ‘절’의 연구 결과 분석
'건강으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알기쉬운 응급처치법 (0) | 2007.04.13 |
---|---|
<모셔온글>뇌를 건강하게 (0) | 2007.04.13 |
[스크랩] 황사불때 ... 실내 공기를 맑게 하는 법 (0) | 2007.04.09 |
[스크랩] 희망이라는 약 (0) | 2007.03.15 |
[스크랩] 자기건강 진단법 (0) | 200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