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기―냉온수기도 급성A형간염 위험인자”
유행성 간염중 하나인 급성 A형간염의 위험요인이 단순히 오염된 음식물이나 간염을 앓고 있는 사람의 침과 대변의 직·간접적 접촉 뿐만 아니라 수도를 이용한 정수기나 생수를 이용한 냉온수기를 통한 음용도 위험요인에 해당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급성 A형간염은 최근 발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여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A형 간염이 대규모로 유행하고 있지만 감염원 및 전파경로에 대한 역학적 연구는 없는 실정이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급성 A형간염 발생건수는 2001년 105건에서 2007년 2223건으로 6년동안 21배가 증가했고 올해 상반기에만 1575건의 발병이 보고될 정도로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고려대학교의료원 감염내과 연구팀은 2008년 4월부터 8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을 방문한 A형 간염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A형간염의 임상양상 확인 및 환자-대조군 연구’를 진행한 결과 급성 A형간염의 위험인자 중 하나로 정수기나 냉온수기를 이용해 음용한 경우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A형 간염 증세를 보이면서 혈청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IgM)가 양성으로 확인된 환자 100명(환자군)과 같은 기간 병원을 내원한 환자 중 항체가 음성으로 나온 환자 100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거주지, 직업, 식수를 포함한 식습관, 여행력, A형간염 환자 혹은 5세 미만의 소아 접촉력 등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급성A형간염의 위험인자 중 A형간염 환자 점촉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위험도가 3.52배, 상추나 당근 및 생선회 섭취는 각각 4.05배, 3.06배, 2.30배 였으며, 끓인 물 대신 수도를 이용한 ‘정수기’나 생수를 이용한 ‘냉온수기’를 음용한 경우 각각 급성 A형간염에 걸릴 위험이 각각 4.14배와 3.18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A형 간염이 대규모로 유행하고 있지만 감염원 및 전파경로에 대한 역학적 연구는 없는 실정이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급성 A형간염 발생건수는 2001년 105건에서 2007년 2223건으로 6년동안 21배가 증가했고 올해 상반기에만 1575건의 발병이 보고될 정도로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고려대학교의료원 감염내과 연구팀은 2008년 4월부터 8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을 방문한 A형 간염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A형간염의 임상양상 확인 및 환자-대조군 연구’를 진행한 결과 급성 A형간염의 위험인자 중 하나로 정수기나 냉온수기를 이용해 음용한 경우도 확인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A형 간염 증세를 보이면서 혈청 A형 간염 바이러스 항체(IgM)가 양성으로 확인된 환자 100명(환자군)과 같은 기간 병원을 내원한 환자 중 항체가 음성으로 나온 환자 100명(대조군)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거주지, 직업, 식수를 포함한 식습관, 여행력, A형간염 환자 혹은 5세 미만의 소아 접촉력 등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급성A형간염의 위험인자 중 A형간염 환자 점촉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위험도가 3.52배, 상추나 당근 및 생선회 섭취는 각각 4.05배, 3.06배, 2.30배 였으며, 끓인 물 대신 수도를 이용한 ‘정수기’나 생수를 이용한 ‘냉온수기’를 음용한 경우 각각 급성 A형간염에 걸릴 위험이 각각 4.14배와 3.18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최근 급증하는 A형 간염이 오염된 식품과 음용수 섭취를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또한 환자의 접촉을 통해 2차 감염으로 획득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따라서 A형 간염의 조절대책으로 위험 연령군을 대상으로 한 예방접종대책을 수립하고 A형 간염의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및 A형 간염환자의 관리지침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출처 : 그대에겐 갈수없지만
글쓴이 : 성월동화 원글보기
메모 :
'건강으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실내 공기 오염 최대한 줄이고, 폐암 예방하는 법 (0) | 2008.11.15 |
---|---|
[스크랩] [EIB] 담배. 호기심조차 갖지 마세요. (0) | 2008.11.14 |
[스크랩] 만병의 근원, 화 - 홧김의 위력 (0) | 2008.11.13 |
[스크랩] ** ★가습기 잘못 사용하면 오히려 ‘독(毒)’★ ** (0) | 2008.11.09 |
[스크랩] 비만 (0) | 2008.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