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교육학자이자 목사 크리스 포먼은 30여년 전
평화봉사단원으로 한국에 왔을 때 한국어를 만화로 익혔다.
어느 날 만화에서 "개소리하지 마"라는 표현을 보고
재미있다고 생각했다가 그 말을 써먹을 기회가 왔다.
버스정류장에서 여학생들이 털이 부숭부숭한 그의 팔을 보며
"원숭이 같다"고 소곤거렸다.
그는 "개소리하지 마"라고 했고 여학생들은 기겁을 했다.
한국말 잘하는 외국인을 보기 어려웠던 시절 풍경이다.
한국어의 세계화가 힘차다.
한국어과를 개설한 중국 대학은 2004년 20여개에서 올해 70여개로 늘었다.
세계적으론 640개를 넘는다.
한류 바람을 타고 일본엔 사설학원을 포함한 한국어 강좌가 3000곳이나 된다.
동남아는 물론 중앙아, 중동까지도 한류와 한국어 열풍이 뜨겁다.
미국에선 1997년부터 우리 수능시험 격인 미국 SAT시험을
한글로도 치르고 올해는 4176명이 응시했다.
세계에 한글학교는 2100개에 이르고 절반이 미국에 있다고 한다.
언어학자 수전 로메인은 한국어 인구가 7500만명, 세계 12위라고 집계했다.
이 순위엔 중국·인도의 최대 방언 인구가 따로 계산돼 있어
한국어 인구가 실제로는 세계 10위라고 국내 학계는 보고 있다.
유엔의 2007년 언어 영향력 평가에선 한국어가 9위에 올랐다.
세계화와 지식정보화 시대에 언어는 국가경쟁력에 중요한 자원이다.
'언어 국력'을 키워나가려면 한국어를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가르치고
보급하는 데 국가적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출처 : synnage
글쓴이 : 신나게 원글보기
메모 :
'애국으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골드만삭스 "통일한국, 40년내 獨·日 추월" (0) | 2009.09.28 |
---|---|
[스크랩] 아파트 옆 계곡서 조선시대 돌다리 발견 (0) | 2009.09.14 |
[스크랩] 명성황후 원수 갚은 자객 고영근 (0) | 2009.09.12 |
[스크랩] 음지에서 양지로 100m 나오는데 600년 (0) | 2009.09.12 |
[스크랩] 아픈몸으로 입대, 건강찾고 최우수 전투원상 타다. (0) | 2009.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