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경영' 체질로 탈바꿈… 영업 이익 300%↑
[환란 15년, 한국기업 얼마나 강해졌나] <상> 커진몸집, 늘어난이익
과거 외형성장 중시 탈피 구조조정 통해 질적 성장
애플과 맞서고 도요타와 경쟁하고…
싸구려 취급받던 제품들 글로벌 브랜드로 우뚝
30대기업 매출 2.7배↑ 1인당 소득도 3배 늘어
과거 외형성장 중시 탈피 구조조정 통해 질적 성장
애플과 맞서고 도요타와 경쟁하고…
싸구려 취급받던 제품들 글로벌 브랜드로 우뚝
최진주기자 pariscom@hk.co.kr
- 입력시간 : 2012.11.28 02:34:43
외환위기가 발생한지 꼭 15년. 어느 곳 하나 변하지 않은 곳이 없지만 그래도 가장 드라마틱한 변화가 일어난 데는 기업이다. 대기업은 환란의 진원지이기도 했지만,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통해 양적으로 질적으로나 가장 큰 변신에 성공했다.
과연 우리나라 기업들은 지난 15년 동안 얼마나 강해졌을까. 지금부터 풀어야 할 남은 과제는 무엇일까. 3회 시리즈를 통해 짚어본다.
외환위기 발생했던 1997년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18조5,000억원. 지난해 이 회사의 매출은 165조원에 달했다. 약 9배로 몸집이 커진 것이다. 97년 당시 11조7,000억원이었던 현대자동차의 매출액도 지난해 77조8,000억원에 달해 7배로 불어났다.
환란은 수많은 기업들의 생사를 갈랐다. 사라진 기업도 있고, 후퇴한 기업도 있지만, 살아남은 몇몇 기업은 지난 15년의 세월을 거치면서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외형성장을 이뤄냈다.
27일 상장회사협의회가 집계한 국내 매출액 기준 30대 상장기업 순위에 따르면, IMF 외환위기가 벌어진 1997년만 해도 254조9,000억원이었던 30대 기업의 총 매출액이 2011년에는 680조5,000억원을 기록, 약 2.7배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와 1인당 국민소득 등도 3배로 늘어났다.
최상위권 기업일수록 외형성장은 눈부셨다. 기업분석 전문업체인 CEO스코어가 현재 삼성 현대차 SK LG그룹 등 10대 그룹의 대표기업 1개씩을 골라 외환위기 당시와 매출액을 비교했더니 97년 92조원이었던 총 매출액이 지난해 말 625조원으로 6배 가까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매출만 늘어난 건 아니다. 더 중요한 건 영업이익과 순익이 더 큰 폭으로 확대됐다는 점이다. 10개 기업의 영업이익은 15년 사이 318%나 증가했다. 한 재계관계자는 "외환위기 전에는 이익은 중요하지 않았다. 어떤 형태로든 자산을 늘리는 게 최우선 관심사였고 부실이 나도 개의치 않았다. 하지만 매출확대 보다 순익창출여부가 더 중요시되는 게 가장 큰 변화다"고 말했다.
환란 이전만해도 국내기업들은 전형적인 '우물 안 개구리'였다. 수출은 많았지만 대부분 OEM이거나 자체 상표로 나가도 '싸구려'취급을 받았다. 또 다른 재계관계자는 "당시 삼성전자 TV는 미국 주요 백화점 납품도 힘들었고 들어가도 진열대 귀퉁이에 놓여 있었다. 현대자동차는 재미교포나 유색인종들이 싼 맛에 타는 차였다. 하지만 애플과 경쟁하고 도요타와 맞서고 있다. 최고의 품질, 최고의 가격으로 팔리고 있다. 말 그대로 상전벽해와 같은 변화"라고 평했다. 실제로 인터브랜드 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브랜드가치 329억 달러로 올해 9위에 등극, 국내기업으론 사상 처음 글로벌 톱10에 진입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IMF 외환위기 이전에는 기업들이 '대마불사' 신화에 빠져 규모의 경쟁만 계속했지만 뼈를 깎는 구조조정 이후 수익성 위주 경쟁으로 전환하면서 기업의 체질이 개선됐다"면서 "규제 완화에 따른 기업간 경쟁 심화도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과연 우리나라 기업들은 지난 15년 동안 얼마나 강해졌을까. 지금부터 풀어야 할 남은 과제는 무엇일까. 3회 시리즈를 통해 짚어본다.
외환위기 발생했던 1997년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18조5,000억원. 지난해 이 회사의 매출은 165조원에 달했다. 약 9배로 몸집이 커진 것이다. 97년 당시 11조7,000억원이었던 현대자동차의 매출액도 지난해 77조8,000억원에 달해 7배로 불어났다.
환란은 수많은 기업들의 생사를 갈랐다. 사라진 기업도 있고, 후퇴한 기업도 있지만, 살아남은 몇몇 기업은 지난 15년의 세월을 거치면서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외형성장을 이뤄냈다.
27일 상장회사협의회가 집계한 국내 매출액 기준 30대 상장기업 순위에 따르면, IMF 외환위기가 벌어진 1997년만 해도 254조9,000억원이었던 30대 기업의 총 매출액이 2011년에는 680조5,000억원을 기록, 약 2.7배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경제 규모와 1인당 국민소득 등도 3배로 늘어났다.
최상위권 기업일수록 외형성장은 눈부셨다. 기업분석 전문업체인 CEO스코어가 현재 삼성 현대차 SK LG그룹 등 10대 그룹의 대표기업 1개씩을 골라 외환위기 당시와 매출액을 비교했더니 97년 92조원이었던 총 매출액이 지난해 말 625조원으로 6배 가까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히 매출만 늘어난 건 아니다. 더 중요한 건 영업이익과 순익이 더 큰 폭으로 확대됐다는 점이다. 10개 기업의 영업이익은 15년 사이 318%나 증가했다. 한 재계관계자는 "외환위기 전에는 이익은 중요하지 않았다. 어떤 형태로든 자산을 늘리는 게 최우선 관심사였고 부실이 나도 개의치 않았다. 하지만 매출확대 보다 순익창출여부가 더 중요시되는 게 가장 큰 변화다"고 말했다.
환란 이전만해도 국내기업들은 전형적인 '우물 안 개구리'였다. 수출은 많았지만 대부분 OEM이거나 자체 상표로 나가도 '싸구려'취급을 받았다. 또 다른 재계관계자는 "당시 삼성전자 TV는 미국 주요 백화점 납품도 힘들었고 들어가도 진열대 귀퉁이에 놓여 있었다. 현대자동차는 재미교포나 유색인종들이 싼 맛에 타는 차였다. 하지만 애플과 경쟁하고 도요타와 맞서고 있다. 최고의 품질, 최고의 가격으로 팔리고 있다. 말 그대로 상전벽해와 같은 변화"라고 평했다. 실제로 인터브랜드 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브랜드가치 329억 달러로 올해 9위에 등극, 국내기업으론 사상 처음 글로벌 톱10에 진입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IMF 외환위기 이전에는 기업들이 '대마불사' 신화에 빠져 규모의 경쟁만 계속했지만 뼈를 깎는 구조조정 이후 수익성 위주 경쟁으로 전환하면서 기업의 체질이 개선됐다"면서 "규제 완화에 따른 기업간 경쟁 심화도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면역' 생긴 기업들, 금융위기 때 오히려 도약
[환란 15년, 한국기업 얼마나 강해졌나] <중> 환란의 학습효과
삼성전자, 세계 최강 굳히고 현대차도 빅5 반열에 올라
10년 앞서 위기 먼저 겪으며 구조조정 감행해 빚 감축
삼성전자, 세계 최강 굳히고 현대차도 빅5 반열에 올라
김이삭기자 hiro@hk.co.kr
- 입력시간 : 2012.11.28 21:05:13
2008년 말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66조원이었다. 당시는 리먼사태로 야기된 미국발 금융위기로 세계 경제가 수렁에 빠져들던 시기. 해외 전문가들은 월가의 금융 쇼크와 IT 버블 붕괴를 목도하며 삼성전자 역시 위기의 후폭풍을 비껴가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최후의 승자는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는 이듬해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하는 새 역사를 쓰며 세계 전자업계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4년이 지난 현재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208조원에 달한다.
현대자동차도 2008년이 분수령이었다. 포드 GM 등 미국자동차 회사들이 줄줄이 공적자금 수혈로 연명하고, 도요타 등 일본자동차 회사들은 리콜과 엔고충격에 허덕이는 사이 현대차는 그 빈틈을 빠르게 파고들었다. 현대차는 글로벌 위기를 통해 오히려 '빅5'반열에 오르게 됐다.
정확히 15년 전 우리나라가 건국이래 최대 경제위기를 맞았을 때, 국내기업들은 만신창이였다. 하지만 불과 10년 뒤 찾아온 글로벌 위기에선 오히려 믿기 힘든 '점프'에 성공했다. 대체 10년 사이 무슨 일이 벌어졌고, 국내 기업들의 도약능력은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위기를 견디는 DNA'가 생겼다고 말한다. 다른 글로벌 기업들보다 10년 앞서 위기를 경험했고, 먼저 구조조정을 한 덕분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뒤 이은 유럽재정위기를 견뎌낼 수 있는 '위기면역세포'가 생겼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재무적 안정이다. 대마불사(大馬不死)의 불문율 하에 겁 없이 빚을 썼던 1997년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의 평균부채비율은 400%에 육박했다. 하지만 IMF사태 기업구조조정을 통해 가장 먼저 빚감축에 나서면서 15년만에 부채비율은 171%까지 줄었다.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4대 기업의 부채비율은 100%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대신 현금 보유액은 22조원에서 57조원으로 크게 늘었다. 한 대기업 재무담당자는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비로소 빚의 위험과 현금의 위력을 깨달았다. 빚 적고 현금만 비축해 놓으면 위기는 얼마든지 버틸 수 있다"고 말했다.
IMF 사태를 겪으며 외형경쟁이 더 이상 불가능해지자 기업들은 생존의 해법을 수익성에서 찾았다.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사업에 집중하면서 기술력(R&D)과 품질, 수출을 통해 이익을 내는 방법을 터득한 것. 환란 학습효과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나타났다.
현대차는 2000년대 중반 원화강세가 지속되자 곧바로 해외 공장 증설에 나섰고, 금융위기가 터졌을 때 별다른 비용 부담 없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 결과 2007년 각각 69조6,000억원, 2조8,480억원을 기록했던 현대차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이듬해 79조7,363억원, 3조720억원으로 외려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2009년 IT 불황이 오자 LCD보다 100만원 이상 비싼 LED TV를 출시하는 고급화 전략으로 맞섰다. 반응은 선풍적이었다. 삼성의 승부수는 순식간에 LED 신드롬을 일으키며 평면TV 시장의 판도를 완전히 바꿔놨다. 김병도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97년 환란은 역설적으로 삼성 현대차 SK LG 등 '글로벌 슈퍼스타'의 탄생을 견인하는 기폭제가 됐다"며 "위기에 대한 면역력이 생긴 덕분에 당황하지 않고 공격적 마케팅을 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IT 자동차 석유화학 등 수출주력 업종이 승승장구한 배경에는 고환율 정책의 뒷받침 등 운도 따랐다"며 "하지만 최근 유럽 재정위기에서 보듯 위기의 주기가 짧아지면서 대기업과 수출기업의 부채상환 능력이 악화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에 또 다른 시험이 닥친 셈"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최후의 승자는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는 이듬해 영업이익 10조원을 돌파하는 새 역사를 쓰며 세계 전자업계의 강자로 자리매김했다. 4년이 지난 현재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208조원에 달한다.
현대자동차도 2008년이 분수령이었다. 포드 GM 등 미국자동차 회사들이 줄줄이 공적자금 수혈로 연명하고, 도요타 등 일본자동차 회사들은 리콜과 엔고충격에 허덕이는 사이 현대차는 그 빈틈을 빠르게 파고들었다. 현대차는 글로벌 위기를 통해 오히려 '빅5'반열에 오르게 됐다.
정확히 15년 전 우리나라가 건국이래 최대 경제위기를 맞았을 때, 국내기업들은 만신창이였다. 하지만 불과 10년 뒤 찾아온 글로벌 위기에선 오히려 믿기 힘든 '점프'에 성공했다. 대체 10년 사이 무슨 일이 벌어졌고, 국내 기업들의 도약능력은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 것일까.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위기를 견디는 DNA'가 생겼다고 말한다. 다른 글로벌 기업들보다 10년 앞서 위기를 경험했고, 먼저 구조조정을 한 덕분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뒤 이은 유럽재정위기를 견뎌낼 수 있는 '위기면역세포'가 생겼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건 역시 재무적 안정이다. 대마불사(大馬不死)의 불문율 하에 겁 없이 빚을 썼던 1997년 우리나라 상장기업들의 평균부채비율은 400%에 육박했다. 하지만 IMF사태 기업구조조정을 통해 가장 먼저 빚감축에 나서면서 15년만에 부채비율은 171%까지 줄었다. 삼성 현대자동차 SK LG 등 4대 기업의 부채비율은 100%를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대신 현금 보유액은 22조원에서 57조원으로 크게 늘었다. 한 대기업 재무담당자는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비로소 빚의 위험과 현금의 위력을 깨달았다. 빚 적고 현금만 비축해 놓으면 위기는 얼마든지 버틸 수 있다"고 말했다.
IMF 사태를 겪으며 외형경쟁이 더 이상 불가능해지자 기업들은 생존의 해법을 수익성에서 찾았다.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사업에 집중하면서 기술력(R&D)과 품질, 수출을 통해 이익을 내는 방법을 터득한 것. 환란 학습효과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통해 나타났다.
현대차는 2000년대 중반 원화강세가 지속되자 곧바로 해외 공장 증설에 나섰고, 금융위기가 터졌을 때 별다른 비용 부담 없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었다. 그 결과 2007년 각각 69조6,000억원, 2조8,480억원을 기록했던 현대차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이듬해 79조7,363억원, 3조720억원으로 외려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2009년 IT 불황이 오자 LCD보다 100만원 이상 비싼 LED TV를 출시하는 고급화 전략으로 맞섰다. 반응은 선풍적이었다. 삼성의 승부수는 순식간에 LED 신드롬을 일으키며 평면TV 시장의 판도를 완전히 바꿔놨다. 김병도 서울대 경영학과 교수는 "97년 환란은 역설적으로 삼성 현대차 SK LG 등 '글로벌 슈퍼스타'의 탄생을 견인하는 기폭제가 됐다"며 "위기에 대한 면역력이 생긴 덕분에 당황하지 않고 공격적 마케팅을 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한득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IT 자동차 석유화학 등 수출주력 업종이 승승장구한 배경에는 고환율 정책의 뒷받침 등 운도 따랐다"며 "하지만 최근 유럽 재정위기에서 보듯 위기의 주기가 짧아지면서 대기업과 수출기업의 부채상환 능력이 악화하고 있는 만큼 기업들에 또 다른 시험이 닥친 셈"이라고 말했다.
출처 : 학성산의 행복찾기
글쓴이 : 학성산 원글보기
메모 :
'재테크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UK] 2013년의 삼성은 구부릴 수 있는 액정이 달린 스마트폰을 계획하다! (0) | 2012.12.01 |
---|---|
[스크랩] 눈 뜨고 고객 코 베는 금융사의 6가지 거짓말 (0) | 2012.11.30 |
[스크랩] 불황에도 분양 성공한 아파트엔 3가지가 있더라 - 2012.9.12.동아 (0) | 2012.11.29 |
[스크랩] 1평 가게 年매출 42억원 (0) | 2012.11.29 |
[스크랩] 제임스 리카즈가 말하는 `3차 통화 전쟁`: 3,4년내 하이퍼인플레이션발생 (0) | 201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