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여덟 살 꽃 다울제 숙명 처럼 혼인하여 두 세 살씩 터울 두고 일곱 남매 기르느라 철 지나고 해 가는 줄 모르는 채 살았 구나! ![]() 봄 여름에 누에치고, 목화 따서 길쌈하고 콩을 갈아 두부 쑤고, 메주 띄워 장 담그고 땡감 따서 곶감 치고, 배추 절여 김장하고 호박고지 무말랭이 넉넉하게 말려두고 어포 육포 유밀과 과일주에 조청까지 정갈하게 갈무리해 다락 높이 간직하네 ![]() 찹쌀 쪄서 술 담그어 노릇하게 익어지면 용수 박아 제일 먼저 제주부터 봉해두고 시아버님 반주꺼리 맑은 술로 떠낸 다음 청수 붓고 휘휘 저어 막걸 리로 걸러내서 들 일 하는 일꾼네들 새참으로 내보내고 나머지는 시루 걸고 소주 내려 묻어두네 ![]() 피난 나온 권속들이 스무명은 족한데 더부살이 종년처럼 부엌살림 도맡아서 보리쌀 절구질 해 연기로 삶아 건져 밥 짓고 국도 끓여 두번 세번 차려내 고 늦은 저녁 설거지를 더듬더듬 끝마치면 몸뚱이는 젖은 풀솜 천근처럼 무거웠네 ![]() 동지섣달 긴긴밤에 물레 돌려 실을 뽑아 날줄을 갈라 늘 여 베틀 위에 걸어놓고 눈물 한숨 졸음 섞어 씨줄을 다져 넣어 한 치 두 치 늘어나서 무명 한필 말아지면 백설같이 희어지게 잿물 내려 삶아내서 햇볕에 바래기를 열두 번은 족히 되리 ![]() 하품 한 번 마음놓고 토해보지 못한 신세 졸고있는 등잔 불에 바늘귀를 겨우 꿰어 무거운 눈 올려 뜨고 한 뜸 두 뜸 꿰매다가 매정스런 바늘 끝이 손 톱 밑을 파고들면 졸음일랑 혼비백산 간데 없이 사라지고 손끝에선 검붉은 피 몽글몽글 솟아난다 ![]() 내 자식들 헤진 옷은 대강해도 좋으련만 점잖으신 시아버 님 의복수발 어찌 할꼬? 탐탁잖은 솜씨라서 걱정부터 앞서고 공들여서 마름질해 정성스레 꿰 맸어도 안목 높고 까다로운 시어머니 눈에 안차 맵고 매운 시집살이 쓴맛까지 더했다네 ![]() 침침해진 눈을 들어 방안을 둘러보면 아랫목서 윗목까지 자식들이 하나가득 차 내버린 이불깃을 다독다독 여며주고 막내녀석 세워 안아 놋쇠요강 들 이대고 어르고 달래면서 어렵사리 쉬 시키면 일할 엄두 사라지고 한숨이 절로난다 ![]() 학식 높고 점잖으신 시아버님 사랑방에 사시사철 끊임없 는 접빈객도 힘겨운데 사대봉사 제사는 여나무번 족히 되고 정월 한식 단오 추석 차례상도 만만찮네 식구들은 많다해도 거들사람 하나 없고 여자라곤 상전 같은 시어머니 뿐이로다 ![]() 고추 당추 맵다해도 시집살이 더 매워라. 큰 아들이 장가 들면 이 고생을 면할 건가? 무정스런 세월가면 이 신세가 나아질까? 이 내 몸이 죽어져야 이 고생이 끝나려나? 그러고도 남는 고생 저승까지 가려는가? 어찌하여 인생길이 이다지도 고단한가 ![]() 토끼 같던 자식들은 귀여워할 새도 없이 어느 틈에 자랐 는지 짝을 채워 살림나고 산비둘기 한쌍 같이 영감하고 둘만 남아 가려운데 긁어주며 오순도 순 사는 것이 지지리도 복이 없는 내 지막 소원인데 마음고생 팔자라서 그마저도 쉽지 않네 ![]() 안채 별채 육간 대청 휑 하니 넓은 집에 가문 날에 콩 나 듯이 찾아오는 손주 녀석 어렸을 적 애비 모습 그린 듯이 닮았는데 식성만은 입이 짧은 제 어미를 탁했는지 곶감 대추 유과 정과 수정과도 마다하고 정 주어볼 틈도 없이 손님처럼 돌아가 네 ![]() 명절이나 큰 일 때 객지 사는 자식들이 어린것들 앞세우 고 하나 둘씩 모여들면 절간 같던 집안에서 웃음꽃이 살아나고 하루 이틀 묵었다가 제집으로 돌아갈 땐 푸성귀에 마른나물, 간장, 된장, 양념까지 있는 대로 퍼 주어도 더 못주어 한이로다 ![]() 손톱발톱 길 새 없이 자식들을 거둔 것이 허리 굽고 늙 어지면 효도 보려 한거드냐? 속절없는 내 한평생 영화 보려 한거드냐? 꿈에라도 그런 것은 상상 조차 아니했고, 고목 나무 껍질 같은 두손 모아 비는 것이 내 신세는 접어두고 자식걱정 때문일 세 ![]() 회갑 진갑 다 지나고 고희마저 눈앞이라 북망산에 묻힐 채비 늦기 전에 해두려고 때깔 좋은 안동포를 넉넉하게 끊어다가 윤달 든해 손 없는 날 대청 위에 펼쳐놓고 도포 원삼 과두 장매 상두꾼들 행전 까지 두 늙은이 수의 일습 내 손으로 지었네 무정한 게 세월이라 어느 틈에 칠순 팔순 눈 어둡고 귀 어두워 거동조차 불편하네 홍안이던 큰자식은 중늙은이 되어가고 까탈 스런 영감은 자식조차 꺼리는데 내가 먼저 죽고 나면 그 수발을 누가 들꼬 제발 덕분 비는 것은 내가 오래 사는 거라 ![]() 내 살같은 자식들아 나죽거든 울지 마라! 인생이란 허무 한 것 이렇게 늙는 것을 낙이라곤 모르고서 한평생을 살았구나! 원도 한도 난 모른다 이 세 상에 미련 없다. 서산마루 해 지듯이 새벽 별빛 바래듯이 잦아들 듯 스러지듯 흔적없이 지고싶다 . ![]() ![]() |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효도보은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大韓民國의 父母와 子息關係는.. (0) | 2013.06.09 |
---|---|
[스크랩] 나눔의 미덕 (0) | 2013.06.03 |
[스크랩] 엄마 - 미안해 (0) | 2013.05.11 |
[스크랩] 세상에서 가장 튼튼한 줄 (0) | 2013.05.10 |
[스크랩] [윤세영의 따뜻한 동행]엄마 생각 (0) | 2013.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