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도보은행복

[스크랩] 차례지내는법,차례상차리기,지방쓰는법,한복입는법,절하는법

good해월 2014. 5. 11. 13:08

 

차례상 차리는 법

 

 

 

1열시접, 잔반, 메(밥) - 떡국은 우측, 술잔은 좌측.

 

2열어동육서(魚東肉西) - 어찬은 동쪽, 육찬은 서쪽.
3열 탕류 - 육탕, 소탕, 어탕 순.
 
4열좌포우혜(左鮑右醯) - 왼쪽에 포(脯),오른쪽에 식혜.
 
5열조율이시(棗栗梨枾)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 붉은 과실은 동, 흰 과실은 서.

이 차림은 일반적인 상차림이며, 지역이나 지방풍습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차례란?

 

차례는 설이나 추석 같은 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례를 말한다. 여기에는 조상을 숭배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차례는 언제 지내는가?

 

예전에는 매달 초하루와 보름, 그리고 명절에 지냈는데 지금은 대개 설, 추석 등의 명절날에만 지낸다. 예전에는 새벽이나 아침 일찍 지냈는데, 지금은 먼 곳에서 모여야 하므로 늦게 지내는 편이다.

 

 

 

 

 

추석차례(한주종택)차례는 누구에게 지내는 제사인가?

 

돌아가신 조상 가운데 자신으로부터 4대(고조)까지 해당된다.

5대 이상은 시제의 대상이 된다.

차례는 누가 지내는가? 종법의 원리에 따라 장자와 장손이 제주가 된다. 그러나 차차, 차손일 경우 그 집안의 가장이 제주가 된다.


                                                                                                                                     추석차례(한주종택)    


중구차례(하회 양진당)차례는 어디에서 지내는가?

 

조상의 신주를 모시는 사당이 있을 때는 사당에서 지내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대개 대청이나 큰방에서 지낸다. 그러나 가옥의 구조나 지방 그리고 가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차례를 지내려면 어떠한 것을 준비해야 하나?

고조까지 4대 봉사를 할 경우 신위를 모시는 교의, 제상, 제기 등은 4벌을 준비해야 하고 병풍, 향안, 향로, 향합, 소탁, 자리 등은 한 벌만 있어도 된다. 원칙은 4대를 동시에 지낼 경우 교의와 제상 4벌이 필 요한데 준비하기 어려우면 윗대 조상부터 차례로 여러 번 지내거나 큰상 하나에 구분하여 차리면 된다.

 

                 중구차례(하회 양진당)

 

 

송편

차례 음식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차례 음식은 계절의 특식을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므로, 설에는 떡국, 추석에는 송편을 올린다. 나머지는 기제사 음식과 유사하다.

차례상은 어떻게 차리는가? 상차림의 기본은 기제와 같으나 몇 가지 다른 점만을 적으면 다음과 같다.
1. 적(炙)은 고기와 생선 및 닭을 따로 담지 않고 한 접시에 담아 미리 올린다.
2. 밥과 국의 위치에 설에는 떡국을 놓으며 추석에는 송편을 놓거나 떡의 위치에 송편을 올리기도 한다.

차례는 어떠한 절차로 지내는가?차례를 지내려면 3일 전부터 목욕재계하여 심신을 청결히 하여야 하고, 차례 당일 아침에는 사당과 제청을 깨끗이 청소하여야 한다. 그러고 나서 집안의 안주인을 중심으로 탕, 떡, 부침 등의 차례 음식을 준비하고, 남자들은 축문, 지방, 꼬치, 제기 등 차례에 필요한 기구들을 준비하는가 하면 고기, 과일 등 차례음식을 장만한다. 차례를 지내는 시간이 되면 제상과 병풍 등 집기를 준비한다. 차례는 기제사와 달리 축문을 읽지 않고 잔을 한 번만 올린다. 이에 반해 기제사는 술을 세 번 올리고, 축을 읽는 것이 크게 다르다.

 

차례 지내는 법
  • 1. 진설(陳設)

    차례상에 음식을 차린다는 의미로 술잔, 수저, 실과 등 식지 않는 음식을 차린다. 차례는 기제사로 모시는 4대의 조상 모두를 한 자리에 모시고 지내는 제례이므로 대수별로 별도의 상에 따로따로 차려야 한다. 그러나 차례상이 부족할 경우 한 상에 차리되 각기 구분하여야 한다.

  • 2. 출주(出主)

    사당이 있는 집에서는 사당에서 차례를 지내기 때문에 이 절차가 필요 없다. 그러나 지방으로 모실 경우에는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의 지방을 모두 작성하여 모신다.

  • 3. 강신(降神)

    제사를 지내는 장소로 조상님의 신이 차례를 지내는 장소로 오시라는 의미이다. 주인이 향상 앞에 나아가 향을 피우고 집사자가 따라주는 술을 세 번으로 나누어 모시기에 붓고 두 번 절한다.

  • 4. 참신(參神)

    신위에게 인사를 드리는 절차이다. 이때 신주를 모시고 차례를 지낼 경우에는 강신을 하기 전에 신주를 모시고 나서 바로 참신을 하고, 지방으로 모실 경우에는 강신을 하고 참신을 한다. 제주 이하 참석한 모든 가족이 절을 하는데, 음양의 원리에 따라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5. 진찬(進饌)

    진설에서 차리지 않은 나머지 차례음식으로서 식어서는 안 될 음식을 차린다.

  • 6. 헌작(獻酌)

    제주가 신위에 잔을 올리는 절차이다. 4대의 조상을 모시는 제례이므로 각 신위에 따로 잔을 올려야 한다.

  • 7. 계반삽시(啓飯揷匙)

    메의 뚜껑을 열어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은 적이나 편에 올려놓는 절차로 삽시정저(揷匙正著)라고도 한다. 추석 때에는 젓가락을 송편 위에 올려놓으면 된다.

  • 8. 합문(闔門)

    조상님이 식사를 할 수 있는 시간이다. 참사자들은 제청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거나, 제상 앞에 병풍을 가린 후 모두 엎드린다.

  • 9. 계문(啓門)

    4~5분 후 연장자가 기침을 세 번 하면, 전원이 제청 안으로 들어오거나, 병풍을 걷고 일어선다.

  • 10. 철시복반(撤匙復飯)

    수저를 거두고, 메의 뚜껑을 덮는 절차로 추석 차례에서는 젓가락을 내린다.

  • 11. 사신(辭神)

    참사자들이 절을 하여 모셔왔던 신을 보내드리는 절차이다. 이때도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한다.

  • 12. 납주(納主)

    신주를 원래의 자리인 사당 감실에 모신다. 지방을 모셨을 경우 지방을 향로 위에 놓고 태운다.

  • 13. 철상(撤床)

    진설한 차례음식을 거두어 내리고 차례상 등의 기물을 정리한다.

  • 14. 음복(飮福)

    주인과 참사자들이 음복주와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의 덕을 기린다.


지방 쓰는법 

 

                              

 

지방(紙榜)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써 종이로 만든 신주(神主)

규격 너비 6cm, 길이 22cm 정도가 좋으며 한지(백지)를 사용
 
위치 고위(아버지)를 왼쪽에 쓰고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돌아가신 분만 중앙에 쓴다.
 
관련정보 제례순서, 지방 접는 법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백부모               형,형수                남편,처

(function(){ var tabs = new SF.M.tabControll({ collId:"speColl", titClass:"tab_tit", contClass:"tab_cont", subTitClass:"stab_tit", subContClass:"sub_tab_cont" }); tabs.init(); })();  

 

여자 한복 |

 

 

 

 

여자 한복입기 여자 한복입는 순서, 메이크업

 

 

 

여자 한복종류 저고리, 치마, 장신구

 

 

고름매는 법

 

           

 

1.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을 가볍게 잡은 다음 짧은 고름이 위로 가도록 X자 모양으로 뺀다.

2. 아래쪽 긴 고름으로 고(반리본 모양)를 만든 뒤 위쪽의 짧은 고름을 밑으로 한다.

3. 왼손으로는 긴고름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짧은 고름을 밑으로 넣어 위로 잡아 뺀다.

4. 아래 위로 가볍게 잡아 당기면서 완성된 모양을 만든다.

5.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진 긴 고름과 짧은 고름의 길이 차이는 5~7cm정도가 알맞으며 노리개 걸이로 고정시켜도 괜찮다.

 

남자 한복

 

  

  

  남자 한복입기 남자 한복입는 순서, 허리 매는 법
  남자 한복종류 저고리, 바지, 조끼, 마고자, 두루마기, 버선 
    
  
  보관방법 한복관리와 세탁법, 한복 보관법

  관련정보 한복 | 한복의 변천사

 

   동영상 더 보기

 

대님매는 법

 

           

 

1. 마루폭의 솔기를 발목 안쪽 복사뼈에 댄다.

2. 발목을 싼 끝을 바깥쪽 복사뼈에 댄다.

3. 대님을 대고 두 번 돌려서 안쪽 복사뼈에서 한 번 묶는다.

4. 나머지로 고를 만들어 묶는다.

5. 바지끝을 내려 보기 좋게 정리한다.

 

여자 절하는 방법

 

                          여자 절하는 법 

 

 1.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오른손등이 왼손등 위로 가도록 포갠다)
 2. 포갠 양 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한다.
 3. 먼저 왼발을 구부린 뒤 오른발을 구부린 후 오른발을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갠 후,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4. 윗몸을 45도 앞으로 반쯤 구부려 절한다.

 

   동영상 더 보기

 

 

자세히보기

(function(){ var tabs = new SF.M.tabControll({ collId:"speColl", titClass:"tab_tit", contClass:"tab_cont", subTitClass:"stab_tit", subContClass:"sub_tab_cont" }); tabs.init(); })(); (function(){ var tabs = new SF.M.tabControll({ collId:"speColl", titClass:"tab_tit", contClass:"tab_cont", subTitClass:"stab_tit", subContClass:"sub_tab_cont" }); tabs.init(); })();

 

 

 남자 절하는 방법

 

남자 절하는 법 1.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게 한다.(이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로 올라간다)
 2.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3.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위에 오른발을 포개 앉는다.
 4.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은 상태에서 얼굴이 손에 닿을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동영상 더 보기

자세히보기

 

 

 

 

*장생도라지효능 카페를 만나신분들 모두 불로장생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건강상식]

1.MBN 천기누설 장생도라지방영-림프종혈액암말기 완치사례 http://cafe.daum.net/1644-5137/S8WS/18

2. MBC 그린실버 고향이 좋다방영-장생도라지가 기관지천식에좋다 http://cafe.naver.com/16445137/115

3. 황사미세먼지 기관지천식 폐질환 장생도라지체험사례 SBS방영 http://cafe.naver.com/16445137/117

4.TV건강검진 해독주스 만드는방법-김미진50kg감량 http://cafe.daum.net/1644-5137/JRqg/21

5. 암을 치료하는 엔돌핀의4,000배 효과인 다이돌핀(Dydorphin)만들자 http://cafe.daum.net/1644-5137/JRqg/19

A. 항상 따끈한 물 마시기(찬물금지)-뜨거운물 식혀 먹는게 암예방과 암세포를 줄일수 있다

B. 전자렌지 사용금지(유전자변이등 우리몸을 천천히 죽이는 무기) http://cafe.daum.net/1644-5137/JRqg/18

C. 냉장고 음식 10분전 꺼내두기(바로 꺼내 먹지 말기)

D. 전기장판,담요,매트사용하지 말기(피를 마르게 한다)-온수매트권유

E. 하루 10분이상 호랑이걸음(虎步) 걷기 http://cafe.daum.net/1644- 5137/SSSz/2

F. 체할때는 바로 대처하기(체하는 증상은 머리가 어지럽거나 띵하거나 춥다는 느낌이 든다)

 

 

 

   

 장생도라지효능

만가지병을 이기는 방법

내몸속의 피를 맑게 해주면 된다

풍부한사포닌과이눌린함유 장생도라지 

나와가족건강100를 위한

3년씩 7번 옮겨심은 하늘이 내려준 자연의선물

21년장생도라지 파우치,환,분말

상담:1644-5137/010-7434-4658

 


출처 : 장생도라지효능
글쓴이 : 제시카윤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