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30일 오후(현지시각)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양국 정상은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이 공동의 목표를 지향하고 있어 양국간 호혜적 실질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되고 있다는데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러시아의 극동•시베리아 개발 협력을 통해 양국관계를 보다 호혜적인 차원으로 발전 시켜나가기로 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핵•북한 문제와 관련해 북한이 올바른 현실 인식을 갖고 핵문제에 대한 입장을 재고하여, 의미 있는 비핵화 대화가 재개될 수 있도록 러시아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습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북핵 불용 원칙하에 외교적 방법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COP21 계기 한-러 정상회담 개최
박근혜 대통령은 파리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 21) 정상행사(11.30, 파리) 참석 계기에 30일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관계 발전방안, 극동·시베리아 지역내 경제협력 확대를 포함한 실질협력 증진방안, 한반도 및 지역정세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입니다.
금번 회담은 2013.11월 정상회담 이후 그간의 양국 간 협력 현황 점검과 아울러, 특히, 우리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러시아의 유라시아 전략간 연계성 증진 및 남북러 3각 협력 사업 등 실질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북핵 문제에 대해서도 심도있는 협의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번 정상 회담은 2013.11월 푸틴 대통령의 국빈방한 시 개최된 정상회담 이후 2년 만에 개최되는 것으로, 특히 금년도 수교 25주년을 맞이하여 양국 정상간 신뢰와 유대감을 새롭게 다지는 한편, 양국 간 호혜적 관계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난 9월 중국 전승 70주년 기념행사 참석 계기 한·중 정상회담, 10월 초 방미를 통한 한·미 정상회담, 11월 초 서울에서의 한·중·일 정상회담과 이를 계기로 한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박근혜 대통령의 금번 한·러 정상회담 개최는 금년 하반기 활발하고 주도적인 외교를 통해 주변 4국과의 정상외교를 마무리한다는 데에도 큰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30일 오후(현지시간) 파리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1) 양자회담장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청와대 자료-
Meeting with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ark Geun-hye
Vladimir Putin met with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ark Geun-hye. The leaders discussed prospects for developing trade and economic relations, as well as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With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ark Geun-hye.
President of Russia Vladimir Putin: Madame President, colleagues, allow me to welcome you.
It is a pleasure to see you, to discuss bilateral relations,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the world at large.
I would like to note that despite global market fluctuations, our economic ties are generally developing well. However, I would like to begin our meeting by expressing my condolences on the death of the former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Kim Young-sam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ark Geun-hye): Thank you, Mr President.
I would like to begin by expressing my deep condolences in connection with the terrorist act – the crash of the Russian plane that led to the death of a large number of Russian citizens.
As you have said, despite the fluctuations on the global market, we have made rather good economic progress, due to the fact that your new policy in the east together with my new vision of the Eurasian initiative are aimed in the same direction, focusing on the same point. Therefore, we have achieved some good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our practical cooperation.
I would like to note that last year we achieved record volumes not only in trade, but also in humanitarian contacts, despite the bad atmosphere in foreign economic relations. Therefore, I believe that based on our potential in areas where we have common interests we should more actively identify real cooperation projects that we could implement.
I would like to remind you that last month, in October, a meeting of the intergovernmental commission on economic and scientific cooperation took place in Seoul, where our colleagues agreed on and discussed ways of identifying our projects and enhancing investment and business activity. I believe this was the right thing to do.
-kremlin 자료-
푸틴"경제교역발전만족한다"···박근혜"공동프로젝트구체화하자"
박근혜 대통령이 30일 오후(현지시각)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자 정상회담은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 21) 후 이뤄졌다.
양국 정상은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와 러시아의 신동방정책이 공동의 목표를 지향하고 있어 양국간 호혜적 실질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되고 있다는데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러시아의 극동•시베리아 개발 협력을 통해 양국관계를 보다 호혜적인 차원으로 발전 시켜나가기로 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한국과의 경제무역관계 발전에 만족감을 표시했다. "세계 정세 변화에도 양국 간 경제 관계가 원할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더붙였다.
푸틴 대통령은 박근혜 대통령과 한반도 상황에 대내 논의하고 싶었다고 전했다. 그는 11월 22일 영면에 든 김영삼 전 대통령에 대한 애도도 잊지 않았다. 박근혜 대통령은 "다수의 러시아인 인명피해를 몰고 온 러시아 여객기 А321 테러 사건과 관련해 다시 한번 애도를 전한다"며 푸틴 대통령과 회담을 시작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세계 정세가 변하고 있지만 한국과 러시아는 괜찮은 경제적 성과를 보였다"며 이 결과는 "러시아가 신동방정책을, 한국이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우리의 목표는 동일하며 그런 이유로 괜찮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이어 "2014년 양국은 교역 및 인도적 교류에서 높은 성과를 달성했다"며 "공동의 이익과 적극적으로 프로젝트를 구현하는 분야에 있어서 우리의 잠재적인 가능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또 10월 서울에서 열린 제14차 한-러 경제공동위에서 양국 대표들이 양국 간 적극적으로 상호협력하기로 합의했었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핵•북한 문제와 관련해 북한이 올바른 현실 인식을 갖고 핵문제에 대한 입장을 재고하여, 의미 있는 비핵화 대화가 재개될 수 있도록 러시아의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북핵 불용 원칙하에 외교적 방법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푸틴 대통령은 북핵 불용 원칙하에 외교적 방법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sputniknews[sputnik 코리아]-
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 실크로드[유라시안 남부횡단철도 개통]
중일한 협력으로 한중철도 연결이 남북평화와 경제발전에 큰 도움된다
극동지역과 동북아 지역 각국 GDP은 다음과 같다 "미국 1인당 GDP 56,421$(5위).일본 1인당 GDP 38,215$(22위).한국 1인당 GDP 36,601$ (29위).러시아 1인당 GDP 24,067$(53위).중국 1인당 GDP 13,801$ (75위), 몽골 1인당 GDP 5,403$(121위) 북한 1인당 GDP 583달러(2012년도,채무불이행 국가)"
한자어(韓字語)와 성씨한자(姓氏漢字)는 中韓日(중한일) 형제국(兄弟國)이다
남과 북 통일의 첫발은 한중,한러 철도운행
남과 북 통일의 첫발은 한중,한러 철도운행입니다
자유화 개방화 상징 서독(프랑스)과 소련이나 동유럽 철도운행으로 점진적 통일을 했습니다
한국, "유라시아 실크로드 친선특급열차" 발대식 개최
유럽-아시아(유라시아) 대륙철도 1904년 개통(부산-블라디보스토크-모스크바-베를린-로테르담)
한국 "유라시아 실크로드 친선특급열차' 발대식이 14일 오전 서울 기차역에서 개최되었습니다.
박근혜 한국 대통령이 제기한 "유라시아계획" 프로젝트의 하나인 이 행사는 한반도와 러시아, 중국을 관통해 유럽에 이르는 교통망을 구축해 유라시아 나라간 경제협력을 강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계획에 따라 한국 각계의 250여명 행사 참가자들이 각기 베이징에서 출발하는 남선 열차와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출발하는 북선 열차에 탑승해 러시아의 이루쿠츠크에서 회합한 후 다시 모스크바와 폴란드의 바르샤바 등지를 경과한 후 이 여정의 종점인 독일 베를린에 도착할 예정입니다.
이 열차의 총 노정은 1만4천400킬로미터이고 약 20일 달리게 됩니다.
한국매체들은 이를 유라시아 대륙을 횡단하는 "대장정"이라고 부릅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영상 메시지를 보내 이 행사가 한반도 통일을 기대하는 한국 대중들의 마음을 보여주기를 희망했습니다.
북중철도 개통 60 주년 "100 만명 승객 수송"
2014년 4월1일에촬영된평양도착95계열 열차(사진)
북중철도 개통 60 주년 "100 만명 승객 수송"을 했습니다
2014년 4월 1일 오전10시평양도착95계열 열차가 단둥역(丹東驛)에서 출발하여 북중철도개통 안전운행6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북중국경 지대에 있는단둥역은"국가문첫째역"으로 불리우는중국·외국인 관광객수송중국제품의 북한수출과수송임무를담당하고 있습니다
단둥역(丹東驛)은1954년4월1일부터북중철도 수송사업을 시작,매주4개의열차가베이징(북경)-단둥(단동)-평양을 오고 가고(왕복 운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