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北매체 “황장엽, 무사치 못할 것” 北매체 “황장엽, 무사치 못할 것” var tid; ns4 = (document.layers)? true:false ie4 = (document.all)? true:false if( ie4 ) { if( navigator.userAgent.indexOf('MSIE 5') > 0 ) ie5 = true; else ie... 애국으로행복 2010.04.06
[스크랩] "독도는 조선령", 국경 명기한 일본측 지도 발견 "독도는 조선령", 국경 명기한 일본측 지도 발견 // 노컷뉴스 | 입력 2010.04.01 18:42 | 누가 봤을까? 10대 남성, 광주 독도를 일본영토로 나타낸 지도를 실은 일본초등학교 5,6학년 사회교과서 5개가 일본 문부과학성의 최종 승인을 받음에 따라 일본의 독도영유권교육이 한층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명확한 국.. 애국으로행복 2010.04.05
[스크랩] 靈前에 삼가 冥福을 빕니다 靈前에 삼가 冥福을 빕니다. 故 한주호 준위 故 한주호 준위는 오늘(3.30) 천안함 함수 침몰지역(2번구역) 수색 및 구조작전에 참가하였습니다. 14시 35분 작전해역에 투입돼 실종장병 수색작전을 펼치다가 15:00시경 의식불명으로 미 해군 구조함(SALVOR)으로 이송되었으나 17:00시경 순직했습니다. 故 한주.. 애국으로행복 2010.04.03
[스크랩] [천안함 침몰] 그날밤 칠흑 속 영웅은 김정운 상사 뉴스: [천안함 침몰] 그날밤 칠흑 속 영웅은 김정운 상사 출처: 한국일보 2010.04.02 07:08 애국으로행복 2010.04.03
[스크랩] [YTN] 일본, 초등생부터 독도 영유권 교육 파문 YTN동영상 | 입력 2010.03.30 19:51 독도가 한국땅인 국제적 이유 http://blog.naver.com/dnwntjs04/10079993161 독도가 한국땅인 역사적 근거 http://blog.naver.com/dnwntjs04/10080761381 독도가 한국땅임을 인정한 일본 태정관 자료 http://blog.naver.com/dnwntjs04/10077125066 애국으로행복 2010.03.31
[스크랩] 순직한 한주호(53·준사관 41기) 준위 ▲ 고 한주호 준위 30일 오후 서해 백령도 부근 천안함 침몰현장에서 구조작업을 펼치다 순직한 한주호(53·준사관 41기) 준위는 1976년부터 줄곧 해군 특수전(UDT·Underwater Demolition Team) 여단에서 근무한 베테랑 요원이다. 1975년 하사로 임관해 군문에 들었으며, 이듬해부터 35년간 줄곧 특수전 여단에 근.. 애국으로행복 2010.03.31
[스크랩] 밤바다로 뛰어든 부사관, 구명정 잡아 동료 구해 밤바다로 뛰어든 부사관, 구명정 잡아 동료 구해 [중앙일보] 기사 나도 한마디 (4) 2010.03.29 02:20 입력 / 2010.03.29 05:19 수정 구조활동 선장이 전한 ‘무명 영웅’ 백령도 해상에서 침몰한 천안함 승조원들이 비상탈출을 위해 탔던 것으로 보이는 구명정이 28일 인천시 옹... 애국으로행복 2010.03.29
[스크랩] 2010년 아사 발생의 이유는? 2010년 아사 발생의 4가지 이유 현재 북한은 식량 및 각종 물품 부족, 과도한 인플레이션에 따른 물가 불안, 강도, 살인 사건 등 강력범죄 급증 등으로 그 어느 해보다 매우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춘궁기가 닥치지도 않았는데 벌써 사람이 굶어 죽어가고 있다는 .. 애국으로행복 2010.03.29
[스크랩] ** ★초계함 선체 구멍나 침몰..北특이동향 없어(종합)★ ** 초계함 선체 구멍나 침몰..北특이동향 없어(종합) [연합뉴스] 2010년 03월 27일(토) 오전 01:11가 가| 이메일| 프린트 "함정 선미에 파공..다른 함정서 미상물체에 경고사격" 승조원 104명중 58명 구조..경비정등 투입해 추가 인명구조 총력 함포 경고사격 대상 새떼로 추정..北 어뢰정 공격여부 확인안돼 (서울=.. 애국으로행복 2010.03.27
[스크랩] [단독] 안중근 의사 딸 수기 발굴, “고국에 돌아와도 의지하고 찾아갈 곳이 없었다” [단독] 안중근 의사 딸 수기 발굴, “고국에 돌아와도 의지하고 찾아갈 곳이 없었다” 독립운동가 가족의 삶은 고단했다. 안 의사의 딸 현생씨도 고단한 삶을 살았다. 의거 후 가족은 흩어져 중국과 러시아 일대를 떠돌아야 했다. 광복 후 고국에 돌아와서도 사정은 달라지지 않았다. 정부와 기관의 도.. 애국으로행복 201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