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마티스 관절염은 전신성 질환이므로 관절외의 여러 곳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 관절외 증상으로는 류마티스 결절, 류마티스 혈관염, 폐 및 흉막질환( 흉막삼출, 간질성 폐염, 폐 결절, 폐렴), 심낭염, 관절의 염증으로 인해 두꺼워진 활막이 신경을 눌러나타나는 신경압박 증상이 흔히 나타나며 손목이나 발목의 신경이 주로 침범됩니다. 이외에 환추축성 불완전 탈구(atlantoaxial subluxation)에 의해서도 신경 압박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안질환으로 (건성각결막염 (keratoconjunctivitis sicca), 상공막염, 공막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falty 증후군은 관절염이 오래되고 관절변형이 심한 환자에서 발생합니다. 대개 이런 경우는 류마티스 인자가 양성이고 류마티스 결절이 잘 동반되며 증상은 비장이 커지고 중성구 감소증을 보입니다. |
|
![]() |
류마티스 관절염은 환자 마다 다양한 임상 경과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3개의 대표적인 임상형태를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으로부터 관해되는 경우는 대략 10% 정도로 대부분의 환자들이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며 약 10% 정도는 발병 후 짧은 기간에 관절손상을 가져와 관절기능을 소실하게되기도 합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의 예후가 좋지 않을 것으로 알려진 경우는 HLA-DR4유전자가 양성이거나, 류마티스 인자가 양성, 류마티스 결절이나 혈관염 등의 관절외 증상이 있는 경우, 급성반응기 단백질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있는 경우, 관절염을 일으킨 관절이 많을수록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
![]() |
류마티스 관절염을 오래 앓게되면 근육의 위축이나 골다공증이 심해지며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됩니다. 또한 피부도 얇아지고 탄력이 없으며 약한 외력에도 손상받기 쉽고 피멍이 잘생깁니다. 류마티스 관절염환자의 대부분이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므로 장기적인 약물 복용으로 인한 위장장애나 소화기계 합병증이 많습니다. 일반인에 비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들은 감염이나 약물에 의한 부작용으로 인한 신장과 소화기계통의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습니다. |
류머티즘성 관절염은 관절에 비화농성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한의학에서는 대체로 痺症의 범주에 속하는데 風, 寒, 濕邪가 몸에 침범하여 오랜 기간 경락과 관절에 머물러서 기혈이 잘 흐르지 못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봅니다. 자연에 비유하여 설명하자면 바람(風)이 심하면 나무들이나 식물들이 휘어지거나 뒤틀려버리고 , 찬(寒) 기운이 강하면 나무들이나 자연이 얼어서 굳거나 뻣뻣해지며, 습기(濕氣)가 많으면 뻣뻣하거나 퉁퉁 불어버리듯이 인체에도 風,寒,濕 邪氣가 너무 많이 있으면 위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치료는 발병초기나 實證에는 祛邪위주로 하여 풍,한,습사를 몰아내고 경락을 소통시켜 기혈을 잘 흐르게 하면 되며, 오랜 만성질환과 虛症에는 祛邪와 扶正(원기를 보하고 면역력을 강화시켜줌)의 복합치료가 마땅합니다. 또한 한방에서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요법, 침구요법, 약침요법 등이 있으며 비록 동일한 병이지만 체질 및 발병원인과 증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증을 하여 치료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약물요법은 크게 급성기인 실증(實證)과 만성기인 허증(虛證)으로 나누어 환자의 체질에 맞게 사용하게 됩니다. 급성기인 실증은 관절부위에 통증이 옮겨다니며 또한 관절이 붉게 붓고 열감이 있으며 입이 마르며 맥이 뜨고 빠른 증상을 나타내므로 이때에는 열을 내리고 혈액순환을 좋게하여, 몸에서 풍과 습한 기운을 제거해주는 효능을 갖고 있는 처방을 가감해서 활용합니다. 만성기인 허증은 관절에 동통이 지속적으로 관절부위의 피부가 청색 혹은 자색을 띄고 손마디가 구부러지고 혹이 여기저기서 만져지며 머리가 어지럽고 식은땀이 나고 몸을 움직이기가 곤란한 증상을 나타내는데 이때에는 기혈(氣血)과 간신(肝腎)의 기능을 보(補)하고 자양(滋養)하는 효능이 있는 처방을 가감해서 활용합니다. 침구요법 중 체침요법은 전신의 경혈점 자극을 통하여 경락의 기능을 정상화함으로써 관절염을 치료하게 되며 특히 통증의 제거에 많이 사용됩니다. 뜸요법은 쑥이나 기타 약물을 체표의 경혈점 위에서 태움으로 생기는 온열자극을 통해 경락의 기혈 순환을 활발히 하여 치료할 뿐만아니라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부항요법은 열 또는 음압장치에 의하여 부항단지 안에 음압을 조성하여 살갗에 붙임으로써 피를 뽑거나 울혈을 일으키며 물리적 자극을 주어 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몸의 어혈을 제거하여 관절염 치료에 응용됩니다. 최근에는 약침요법(벌약침요법)이 개발되어 면역기능의 변화를 유도하여 류마티스 및 제반 관절염 질환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출처 : 의통구호군
글쓴이 : 해뜨는 나루 원글보기
메모 :
'건강으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풍습성 관절염(류머치스) (0) | 2008.07.28 |
---|---|
[스크랩] 류머티스 관절염 (0) | 2008.07.28 |
[스크랩] 무릎관절] 관절염의 주요 발생 부위와 진단법 및 치료법 (0) | 2008.07.28 |
[스크랩] 아침 운동과 저녁 운동의 장단점 (0) | 2008.07.27 |
[스크랩] ** ★검은齒 치석ㆍ충치주의보 적백齒 염증ㆍ궤양경보음★ ** (0) | 2008.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