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으로행복

[스크랩] 안중근의사99주기를 맞이하면서...

good해월 2009. 3. 26. 09:44

안중근 의사 기념관

  • 글쓴이: 오세운
  • 조회수 : 37
  • 09.03.03 21:26
http://cafe.daum.net/ohtacom/Eejy/102주소 복사

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종전의 흑룡강성 민속 박물관(하얼빈시 안승가 85호) 1층에서 기념관을 보수하여

2층으로 옮기고 전시물의 보강을 통해 조금 새롭게 단장을 했습니다만 초라하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아직도 한국 정부의 미미한 지원이 있으나 너무나 작아 관람객들의 입장료(20원), 찬조금이나 헌금

으로 유지 충당하는 현실입니다.

이번의 동계유니버시아드 경기를 대비한 단장을 한 후 공개한 진열실은 조금 발전되 모습이었습니다.

이곳에서 심양 주재 총영사, 유니버시아드 선수단 단장, 선수단 총감독, 대한 체육회 단체장들 등을 만나고

안내하면서고 몇가지 자료를 올려 봅니다.

 

 

 진열실 입구입니다.

 거룩한 손 동상의 모양입니다.

안중근 의사 흉상입니다.

 의사의 친필 인내입니다.

 스스로 잘난체 하는 것 보다 어리석음이 없다는 친필 휘호입니다.

 내부 진열실 안내를 맡은 최경매 씨입니다.

 안중근 의사의 사진입니다.  손가락이 잘려 나간것이 보입니다.

 제목도 없는 을사조약 전문입니다.

 약지가 잘려진 안중근 의사의 손 자국입니다.

 거룩한 손 안의사의 손모양 앞에서 입니다

 2층에 나란히 준비된 흑룡강성 민속 박물관 입구입니다.

 안중근 의사의 흉상 앞입니다.

 안중근 의사의 동양 평화론 서문입니다.

 재현된 하얼빈 역 광장의 저격 장면 브론즈 입니다.

 안중근 의사를 가두었던 하얼빈 영사관 지하실입니다.

 체포 당한 후의 모습니다.

 순국 5분전의 모습의 사진

 진열실에 준비된 안중근 의사의 거사 안내 비디오 입니다.

 내부 안내 설명을 듣는 중입니다.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소원
  • 조회수 : 6
  • 09.03.23 15:00
http://cafe.daum.net/wooritrans/OkRS/367주소 복사

    
   
    

   

     

   

사형 집행인이 안중근의사에게     
       
   "마지막 소원이 무엇입니까?"라고 물었다.     
       
   사형 집행 전 사형수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주는 것이     
       
   관행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술을 마시게 해 달라거나     
       
   담배 한 대를 피우게 해 달라는 흔한 얘기를 하지 않았다. 

  

[단독] 안중근 의사 뤼순 감옥 첫 공개

 
   "5분만 시간을 주십시오, 책을 다 읽지 못했습니다."     
       
   그는 5분 동안 읽고 있던 책의 마지막 부분을 다 읽고     
       
   그들에게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세상을 떠났다.     
       
       
   [월간 좋은생각] 2002년 8월호 중에서
    

   
영화,게임,애니,스틸,교육 => 파일공유 사이트

안중근 의사 ‘뤼순감옥 벼루’ 발견

|도쿄 박홍기특파원|안중근 의사가 일제강점기에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한 뒤 중국 뤼순(旅順)감옥에 복역하면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 벼루가 처음 발견됐다.

▲ 안중근의사가 중국 뤼순감옥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벼루가 6일 일본에서 처음 발견됐다.왼쪽 사진은 벼루 덮개,오른쪽 사진은 뒷면이다.
가호구신보 제공
도쿄신문은 6일 벼루의 뒷면에 ‘경술 3월 여순옥 안중근’으로 쓰여 있는 점으로 미뤄 안 의사가 1910년 3월 사형에 처해지기 직전까지 사용한 것 같다고 보도했다. 벼루의 크기는 세로 13.3㎝, 가로 7.5㎝, 높이 1㎝이다. 현재 벼루는 안 의사의 추모비가 있는 일본 미야기현의 절인 다이린지에 보관되어 있다.

벼루는 사이타마현 가와코시시에 사는 벼루 수집가인 70대 남성 치과의사가 옛 만주철도의 수집품 판매장에서 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치과의사는 벼루를 입수한 뒤 “안중근의 혼이 담긴 물건으로 중요하게 보관해줄 곳에 기증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벼루 전문가로 도쿄의 ‘벼루 자료실’ 운영자이자 도쿄예술대 강사인 구스노키 후미오는 감정을 통해 “안중근의 필적 등을 비교한 결과, 진짜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hkpark@seoul.co.kr

[스크랩] [[의견]] 안중근 복역, 中 뤼순감옥 공개
  • 글쓴이: 의상봉
  • 조회수 : 32
  • 06.04.30 11:55
http://cafe.daum.net/nicecafe312/4ugY/6514주소 복사

단재 신채호선생과 도마 안중근의사가 복역하였으며 일본과 구소련이 중국을 점령하여

중국과 한국등의 애국지사들을 구금하기도 했던 중국 대련시 여순에 위치한 여순감옥.

당시의 피맺힌 절규를 다시 한번 돌아봄으로써 일본의 제국주의적 잔인성을 다시한번

환기하여 독도를 국제적으로 분쟁화하려는 일본의 야욕을 분쇄할 신한국의 정신력을 구축 할

수 있는 좋은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여순형무소는 -사실여부는 확실하지 않지만- 외국인에게 개방이 금지되었다고 한다.

필자가 방문할 당시 중국인을 대동하여 무사히 들어갈 수 있었다.

 <여순 형무소 전경. 중국 대련시 여순소재>

 

 <형무소 외부 모습. 각 방마다 창가에 번호가 매겨져있다. 작은 사진은 저장고>

각 방마다 번호가 매겨져 안팎으로 감시할 수 있는 감시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작은 사진은 음식물등을 저장했던 저장고로 굴을 파 냉장고 대용으로 사용하였다. 

 

 <형무소 뒤편 외부 전경. 스산한 분위기마저 드는 이곳에서 과거 순국 선혈들은 산화했으리라>

 

 <수의. 신체검사를 받거나 형무소 입소시 비취되어 있는 수의로 갈아 입게 된다>

여순감옥을 관람할때 처음으로 들르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수의들이 비취되어 있는 이곳.

형을치루기 위해서는 비취된 수의로 갈아 입은 후 신체검사등을 통해 감방에 구금하게 된다.

 

 <형무소 복도 모습. 바닥은 철창으로 아래층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해 놓았다>

형무소 내부는 대부분 사진의 모습을 하고 있다. 1층과 2층으로 분리되어 2층 바닥에 철망을

설치하여 2층에서도 1층의 복도를 감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형무소 복도 모습. 관람 제한구역은 바리케이트로 막아 놓았다>

 

 <형무소 복도 모습. 각 방별로 복역자 번호의 문패가 보인다.>

형무소 1층의 모습. 영화에서나 볼 수 있을 듯한 음산한 분위기가 방문한 사람으로 하여금

당시의 잔혹한 실상을 몸소 느끼게 한다. 각 방마다 구금된 복역자번호의 문패가 있어, 감시하기

편하게 해놓았다.

 

  <형무소 복도 모습. 감방 문의 우측 하단에 음식을 넣을 수 있는 입구가 보인다>

각 감방의 방문은 나무재질로 되어있으며, 문의 위쪽은 철망으로 되어 있어 안을 훤히 들여다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감옥 내에 화장실은 없으며, 나무로 된 양동이가 화장실 역할을 대신 한다.

각 방문 우측하단에 작은 구멍이 있는데 이곳은 음식이나 기타 물품을 들이던 구멍이다.

 

 <복역자들의 인식표와 타고남은 재>

좌측은 복역자들의 신분 확인을 위한 인식표이다. 우측은 복역하던 복역자들을 투항하기

전에 태워버리고 남은 재다. 복역시 사망한 복역자들을 화장하여 처리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감방의 복역자번호 문패>

 각 감방의 좌측상단에 붙혀 있는 복역자들의 번호표이다.

 

 <감방 내부의 모습. 짚신과 변기가 놓여 있다>

감방 내부의 모습이다. 내부에는 화장실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나무로 제작된

양동이가 변기 역할을 대신 한다.

 

  <신채호 선생의 약력과 사진>

 

 <신채호 선생의 조선혁명선언문>

 

사진은 복역할 당시의 단재 신채호선생과 조선혁명선언서 전문이다.

 

형무소 안 신채호 선생이 투옥돼었던 감옥 앞에 걸려있는 신채호선생의 사진.

선생의 가슴에 뚜렷한 글씨로 "신채호"라고 적혀있다.

중국인들도 신채호선생의 역사학자로서의 업적을 추앙하듯 그의 프로필에

"저명한 역사학자"라는 글귀로 그를 소개하고 있다.

 

다음은 사진상의 신채호선생 프로필.

 

신채호선생(1880-1936) 조선 충청남도인, 저명한 역사학자, 문학자

1923년 조선혁명선언, 무장 항일 투쟁전개

1928년 5월 대만에서 경찰에 체포됨.

1930년 4월 10년형 선고 받음.

1936년 2월 21일 여순감옥에서 병사.

 

 <감방에 감금된 사람들의 식기>

당시 감방에서 사용되던 식기이다. 7개의 식기가 보이는데 의미는 복역자의 죄질에 따라 식기의

크기를 달리 한 것이다. 1번 식기는 죄질이 가벼운 복역자의 식기이다.

 

 <감옥을 지키는 교도관의 집무실>

형무소의 내부에 위치한 교도관의 집무실이다. 당시의 생활수준에 비교한다면 전화기와

선풍기까지 비취되어 있는 꽤 품격있는 모습이다.

 

  <암실설명. 암실을 볼 수 있는 작은 구멍>

암실은 특별한 복역자를 엄하게 다스리기 위해 제작되어 있는 독방이다. 감방의 내부는 1평도 되

지 않는 좁은 공간이며, 사진은 전시를 위해 불을 켜놓았지만,복역시에는 아무것도보이지 않는

암실이다. 내부와 외부로 통하는 곳은 사진 하단의 테니스공 크기의 작은 구멍뿐이며, 이곳 여순

형무소에는 4개의 독방이 설치되어있다.

 

  <암실로 들어 가는 작은 문. 암실로 들어가는 유일한 문>

암실로 들어가는 입구. 다소 커보이지만 숙여야 겨우 들어 갈 수 있는 작은 문이다.

 

  <암실 독방 내부 모습>

독방의 외부의 테니스공크기의 작은 구멍을 통해 들여다 본 독방 내부의 모습이다.

독방 내부에는 변을 볼 수있는 "변통"과 "밥통", 우측 중간 밖으로 나갈 수 있는 입구가 조그맣

게 눈에 띈다. 복역 중에는 어떠한 불빛도 볼 수 없다. 독방내부의 구조를 보아 당시의 참혹했던

현실을 엿 볼 수 있다.

 

  <시체실>

사진은 복역중 사망한 시체를 보관하던 시체실이다. 현재 내부는 아무것도 없는 빈방이지만,

당시에는 많은 시체들이 바닥에 뒤엉켜있었을 것이다. 사진 중간에 시체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작은 창문이 보인다.

 

  <증언>

 

 <고문도구>

 

 <고문형틀>

형틀에서 고문을 받고 후유증을 호소하던 중국인이 고문방법을 증언한 사진이다.

호스를 수감자 입에 연결한 다음 몸속으로 집어넣은 후 커다란 몽둥이나 기타 커다란 나무기둥

등을 사용해 배를 짓누르면 눈, 코, 입, 항문을 통해 몸속의 수분이 빠져나온다. 또 한 손톱과

발톱사이에 날카로운 나무조각을 박아넣는 잔인한 고문도 행해졌다.

 

 <고문도구>

다양한 고문도구들이 눈길을 끈다. 발목이나 손목에 걸었던 쇠사슬 고리들이 당시의 복역자의

피와 절규를 머금은 채 고스란히 놓여 있다.

 

 <교도관이 착용하던 모자와 옷>

 

  <의무실과 사용하던 의약품과 화학약품>

 

 <의무실에서 사용하던 현미경, 주사 약품>

 

  <교수형장 전경>

여순형무소에 있는 교수형장 중의 하나이다. 구소련이 사용하던 교수형장은 형무소 내부에 위치

되어 있다. 우측하단의 작은 사진은 교수형장으로 통하는 길로 교수형을 위해서는 이 길을 거쳐

야 했다. 이 길로 끌려 가며, 조국을 울부짖었을 선혈들의 목소리가 귓가에 선하다. 

 

 <교수형장 내부 도르레>

 

  <교수형장의 모습>

교수형장 내부의 모습으로 상단은 도르레와 목을 걸기 위한 밧줄 매듭이다.

바닥에는 교수형장에서 볼 수 있는 작은 구멍이 보이며 형을 당하는 복역자는 작은 구멍 속으로

생을 마감하게 된다. 형장의 하단에는 사람이 들어 갈 수 있는 원통이 보이는데 매달린 시신은

사망 후 통속으로 들어가 매장된다. 형 집행후 사망여부를 확인한다음 사망하지 않았을 경우

에는 독극물을 투여하여 살해한다.

 

 <교수형으로 살해 된 사람의 모습>

공동묘지에서 발견된 시신의 모습으로 매우 참혹한 모습. 교수형으로 살해된 후 그림과 같은 통

에 넣어 매장되었다. 그 이유는 일본군 앞에 무릎을 꿇지 않는 한국인과 중국인들로 하여금 죽어

서까지 무릎 꿇게 하기 위함이었다.

 

 <교수형을 받기 위해 대기하던 대기실>

교수형을 받기 위해 대기하던 대기실이다. 불빛조차 없는 독방형 대기실에서 울부짖으며,

조국을 절실히 그리워 한 선혈들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그들은 이곳에서 형을 기다리며

무슨 생각을 하였을까?

 

 <죄수들이 일하던 인쇄기>

 

 <교도관이 사용하던 고문도구 채찍등>

 

 <죄수 이송시 머리에 씌우던 도구>

 

  <안중근의사를 구금했던 방에 대한 설명.조선애국지사 안중근을 구금했던 감방>

안중근(1879-1910)은 조선 황해도 해주부 사람이다. 1907년 조선의병운동에 가담하여 참모

중장을 담당하였으며 1909년 "대한독립동맹" 조직에 참여하였다. 동년 10월 26일 그는 중국

의 하얼빈역에서 일본제국주의 중심인물로 조선 초대통감을 지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체포된 후 11월 3일 여순감옥으로 압송되었으며 일본의 "국사범"으로 분류되어 간수보장

당직실 옆에 있는 이 감방에 단독으로 구급되었다. 1910년 3월 26일 오전 10시에 안중근은

감옥 교수형장에서 순국하였으며 그때 나이 32세였다.

 

  <안중근의사의 친필>

카메라가 부착되어 다소 조화롭지 못한 분위기의 감방 내부. 감방의 내부 벽에는 안중근

의사의 친필 두 점이 걸려 있다. 

一日不讀書 口中生荊棘(일일부독서 구중생형극)"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으면 입안에 가시가 돋는다

"國家安危 勞心焦思(국가안위 노심초사)"

나라의 안위를 걱정하면 애가 끓는다.

 

 <안중근의사가 사용하던 변기>

 

  <안중근의사가 사용하던 책상과 의자 및 사무도구>

깔끔하게 정돈되어 있는 안중근의사의 유품들. 혼이 깃들어있는 사무용품에서 안중근의사의

희생정신을 다시한번 상기해본다. 

 

 <좌측 안중근의사를 구금했던 감방. 우측은 교도관이 머물었던 당직실>

안중근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살해한 죄로 일본의 주요 국사법으로 분류되어 개별적으로 간수보장들의 당직실 옆 독방에 구금되었다.

 

 <안중근의사가 교수형 당한 장소>

 

 <죽은 시체를 버리던 문 I>

일본에 대항하여 교수형에 의해 살해된 시신이 들어있는 통은 사진의 문을 통해 동산묘지로

매장된다.

 

 <죽은 시체를 버리던 문 II>

 

 <교수형한 시체들을 묻었던 동산 묘지의 실제 모습>

 

  <실제무덤에서 발견된 사체들>

교수형 후 살해된 시신들을 무더기로 묻었던 장소가 발견되어 충격을 더해주고 있다.

이곳은 실제 발견될 당시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안중근의사의 유해도 이곳 어딘가에 안장되어 있을까?

 

 <당시 전쟁시 구소련군에 의해 사용되었던 폭약과 어뢰>

 

 

 <배에서 사용하던 닻과 자동차>

 

 <발견된 시체와 염산병>

교수형 후 나무통속에서 발견된 시신의 모습으로 사진 하단에는 염산병이 보인다.

죽어서까지 일본에 무릎을 꿇도록 강요하였으며, 무릎이 굽혀지지 않은 시신에는 염산을

뿌려 시신의 관절을 녹인 후 무릎을 꿇도록 한 모습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

 

 <감옥을 감시하던 감시탑>

 

일본은 과거에 대한 반성으로 화해무드를 조성하고 있는 독일을 거울삼아 하루빨리 제국주의의 망령에서 벗어나 과거를 뉘우치고 반성하여 화해의 관계로 돌아서는 성의를 보여야 할 것이다.

 

본 기사의 모든 내용은 직접 촬영 작성한 것이므로 저작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출처 :빅뉴스 원문보기 글쓴이 : 새로고침
안중근의사 99주기를 맞이하면서 우리가이렇게 편하게먹고 자고할수있는것도 우리조상들의 숨은노력이 있었기에 이렇게존재할수있는것이 아닌가? 우리나라에 얼마나오고싶을까? 죽어서도 조국을위해서 참으로 우리후손들이 부끄러운자화상입니다. 그러기에 안중근의사를 한번생각해보면서 자료를올려봅니다.
출처 : 아름다운세상의끝...^^*
글쓴이 : 아름다운세상의끝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