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의 즉문즉설 / 명령만 하는 남편
문 :
남편이 여섯 살 아들과 네 살 딸에게 달래거나 타이르지 않고 명령조로 이야기하거나
아이들한테 무관심해 화가 많이 납니다.
답 :
아이들과 남편을 위해서 이 문제를 개선하고 싶다면, 혼자서 속으로 끙끙대지 말고, 화내지도 말고, 남편과
이야기를 나누어 보십시오. “내 생각에는 이렇게 하는 것이 아이들에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은 어른을
본받고 자라는 것인데 당신이 이렇게 자주 화를 내면 아이들이 무엇을 본받겠습니까? 그러니 이렇게 해주면 어떻겠습니까?” 이렇게 진지하게 이야기해 보고, 그래도 안 되면 남편이 좋아하는 것을 해주면서 더 이야기해 보십시오.
정말로 진지하게 거듭거듭 이야기했는데도 별다른 변화가 없다면, 이것은 고쳐질 가능성이 거의 없는 일입니다. 고쳐질 가능성이 별로 없는 일을 계속 한다는 것은 낭비입니다. 이야기하면 할수록 자꾸 화만 나고 남편이 미워지게 됩니다. 사람이 그 성질을 모두 고칠 수는 없습니다. 물론 부처님 법에 의하면 이론적으로는 다 고칠 수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인간이 그렇게까지 자기를 완전히 고치고 사는 경우는 많지가 않습니다.
어린아이의 성질은 쉽게 고칠 수도 있지만 어른은 고치기 힘이 들고 노인은 절대 못 고친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노인은 고치기 어려우니 맞춰드려야 하는 것이고 어린아이는 따라 배우기 때문에 본보기가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남편은 어른이니 고치기가 어렵겠지요? 엄마가 아이의 습관을 고쳐보려 노력해도 잘 되기가 어려운데, 어떻게 어른인 남편을 쉽게 고칠 수 있겠습니까? 진지하게 몇 번 부탁해 보고 변화가 없으면 고치는 것을 포기하셔야 합니다.
그러나 아이들 교육에 있어서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문제라면, 반드시 남편에게 진지하게 이야기하십시오.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해도 어른의 성격은 고치기 어려운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 해도 안 될 때에는 남편은 자신의 역할을 하도록 놓아두고 그대로 받아들이십시오. 질문자가 어머니로서의 권리가 있는 것처럼 남편 또한 아버지로서의 권리가 있는 것이니, 남편이 자신의 방식대로 그 권리를 행사하도록 그냥 두셔야 합니다.
아이가 아빠한테 불평할 때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것보다, 아빠의 입장과 처지를 아이에게 이해시키는 것이 장기적으로 아이의 정신 건강에 좋습니다. 어릴 때 사탕 많이 먹으면 입 안이 달콤해서 좋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치아가 썩는다든지 건강에 나쁜 것과 같습니다. 요즘은 덜합니다만 예전에는 남편들이 가정에서 폭력을 휘두르기도 하고 지나치게 권위적으로 가장 행세를 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러면 아내는 자기 억울한 사연을 이야기할 데가 없으니 어린 자식들을 붙들고 호소를 했고, 이렇게 자란 아이들은 모두 제 아버지가 진짜 나쁜 사람이라고 원수같이 생각하게 됩니다. 이렇게 키워서는 훌륭한 사람이 되기가 어렵습니다. 자기의 뿌리가 아버지로부터 왔는데 아버지가 나쁜 사람이라면 자기 역시 불량한 사람이 되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러니 이렇게 자란 사람에게는 자긍심이 없습니다. 자신에 대한 당당함과 긍지가 있는 사람은 겸손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폼을 잡았다가 비굴하게 굴었다가 이중인격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아이들이 훌륭한 사람이 되기를 원한다면 자녀 교육 문제로 부부간에 싸우는 모습을 보이면 안 됩니다. 부인이 보기에 남편이 좀 문제가 있어 보인다 하더라도, 그것은 부인이 보기에 그런 것일 뿐이지 그러한 부인의 생각이 진실인 것은 아닙니다. 내 생각이 모두 옳은 것은 아닙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남편의 말대로 따라야 한다는 뜻도 아닙니다.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셔야 합니다. 그러나 듣고 안 듣고는 남편의 자유입니다.
법륜 스님 정토회 지도법사
출처 : 법보신문 1001호 [2009년 06월 09일 11:38]
'믿음으로행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괴로운 `그 무엇`의 실체 (0) | 2010.01.14 |
---|---|
[스크랩]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 자꾸 안 좋은 일이 생겨요 (0) | 2010.01.14 |
[스크랩] 소록도/이것이 인생이다 2010/01/10 (0) | 2010.01.12 |
[스크랩] 문제는 나에게 있었다 (0) | 2010.01.09 |
[스크랩] 한국 교회에 나타난 이단의 유형 (0) | 2010.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