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중국, 극초음속 비행기 시험비행 성공" "중국, 극초음속 비행기 시험비행 성공" 입력 : 2015.09.20 15:59 중국이 최근 마하 5(음속의 5배)로 비행하는 극초음속 비행기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홍콩 명보는 중국 시험비행센터가 최근 신형 극초음속 비행기 시제기의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고 중국항공공업(AVIC) .. 애국으로행복 2015.09.21
[스크랩] 한반도 통일을 내다본다, 한반도 통일을 염원하며 아래 글을 읽어보시라, ★눈물 젖은 빵을 먹어본 시진핑★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앞으로 10년 동안 중국을 이끌게 된다. 그 기간 중에 한반도에는 결정적인 변화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 1990년 독일 통일을 지켜본 소련 지도자는 고르바초.. 애국으로행복 2015.09.16
[스크랩] 70주년 중국 전승절 열병식 ㅡ 역사관의 정립 ㅡ 전 국민들께 고함 ! 박근혜 반기문 투톱의 중국 전승절 참석 의미 김순옥(lad***) 글쓴이 블로그 2015.08.31 14:27:23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은 세계에 상당히 큰 의미를 던져 줍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박근혜 대통.. 애국으로행복 2015.09.16
[스크랩] 朴, 오늘 상해임정청사 재개관식..역대 최대 한중비즈포럼도 朴, 오늘 상해임정청사 재개관식..역대 최대 한중비즈포럼도 상하이 일정 마치고 오늘 귀국뉴스1 | 윤태형 기자 | 입력 2015.09.04. 05:00 (상하이=뉴스1) 윤태형 기자 = 중국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상하이에서의 첫 일정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 재개관식에 참석한다. .. 애국으로행복 2015.09.05
[스크랩] 중국(中國), 70주년 열병식(70th 閱兵式), 천안문 광장에서 개최 중국 전승절 70주년 기념 군사 열병식 ▲ 최초의 항일전쟁 승리 테마 열병식 ▲ 외국 군대 대표단 최초 열병식 참가 ▲ 10개 공중 편대 200대 군용기로 구성된 사상 최대 규모의 에어쇼 ▲ 현역 장성 50여명으로 구성된 장군부대 최초 참가 ▲ 국민당 노병 포함 항전노병 최초 열병식 참가 ▲.. 애국으로행복 2015.09.04
[스크랩] 朴대통령 위치, 中 전승절 기념행사서 4번 변경 시진핑 오른쪽→펑리위안 왼쪽→시진핑 왼쪽→시진핑 오른쪽 두번째 (베이징=연합뉴스) 정윤섭 강병철 기자 = 중국의 3일 '항일(抗日) 전쟁 및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승전 70주년(전승절)' 기념행사가 진행되는 동안 박근혜 대통령의 위치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중심으로 4.. 애국으로행복 2015.09.03
[스크랩] [NBS국민방송] 檢,`리퍼트 대사 습격` 김기종에 징역 15년 구형 "고의성 명백" 주장,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도 적용 박미혜 기자ㅣ 기사입력 2015/09/03 [13:18]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 대사를 습격해 구속기소된 김기종(55)씨에게 검찰이 징역 15년을 구형했다. 3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김동아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결심공판에서 검찰은 "살인의 미필.. 애국으로행복 2015.09.03
[스크랩] 중국전승절 퍼레이드를 보고 중국전승절 퍼레이드를 보고 평소보다 일찍 식사하러 갔다가 중국전승절 기념행사를 보았다. TV로 생중계 되는 이 행사에 한국대통령이 참석 한다고 하여 관심을 끌고 있다. 하지만 TV에서 한국대통령의 모습은 잘 보이지 않는다. 그 대신 중국군의 열병식 모습만 보여준다. TV를 보니 자.. 애국으로행복 2015.09.03
[스크랩] `중국`은 `북한`을 말리는 척 할 뿐이다! 중국은 북한을 말리는 척 할 뿐이다! 朴대통령 전승절 참가의 문제점 박근혜 대통령의 9월3일 ‘중국 인민의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전승절 열병식) 참가 관련, 정부는 “중국과의 우호관계를 고려하는 한편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하는 중국이 .. 애국으로행복 2015.08.29
[스크랩] 독일계 한국인 李參의 `재미 있는 한국인論` 오늘 오후 '趙甲濟의 현대사 강좌'(문화일보 홀)에 나온 독일계 한국인 李參씨는 완벽한 한국어로 흥미진진하게 두 시간의 강연을 이끌었다. '무한한 잠재력을 가진 나라의 답답함'이란 주제였다. 31년째 한국에 산다는 그는 자신이 "독일에서보다 한국에서 생활한 기간이 더 길어졌다"는 .. 애국으로행복 2015.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