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오래 살려면 오래 자지 마라…美포브스誌 ‘장수비결 15가지’ 오래 살려면 오래 자지 마라…美포브스誌 ‘장수비결 15가지’ 미국의 경제전문 격주간지인 포브스 인터넷판은 7일 이제 노년기에 접어들기 시작한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장수 비결 15가지를 공개했다. 첫 번째 조언은 너무 많이 자지 말 것. 하루 평균 8시간 이상 자는 사... 건강으로행복 2008.07.07
[스크랩] 여름철 안전생활 지침서 안전 먹을거리! 식재료 선택&보관법 여름철에는 기온과 습도가 높아 음식이 상하기 쉽고 상하지 않더라도 신선함이 오래가지 않는다. 상한 음식과 식재료는 식중독을 일으키는 주범. 구입할 때부터 신선한 재료를 고르는 것이 기본이지만 여름철에는 특히 보관에 신경 써야 한다. 냉장실은 10℃ 이하, .. 건강으로행복 2008.07.06
[스크랩] 신장 신장은 정을 간직하고 있다. 정은 정력을 말한다. 정력은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살아서 움직이는 활동의 정력 즉, 힘을 말하는 것으로 사람의 힘은 신장에 좌우된다는 것, 둘째는 자손을 번성시키는 생식의 정력도 신장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신장에 병이 들면 힘이 없어 자꾸 눕고.. 건강으로행복 2008.07.01
[스크랩] 암을 유발하는 6대 적은? 먹거리에 암 예방의 비결이 숨어 있다. 비만·적색 육·알코올·소금·설탕·영양 보충제 등이 암 발생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세계 암연구기금(WCRF)과 미국 암연구기금(AICR)이 1960년 이후 전 세계에서 진행된 7000개의 암 관련 연구를 분석한 뒤 내린 보고서(식품·영양·신체 활동과 .. 건강으로행복 2008.07.01
[스크랩] 질병 고치는 손가락 지압법 "경혈은 인체의 기가 흐르는 통로인 경락의 기가 모이는 중요한 지점"이다. 특히 우리의 손에는 인체의 축소판이라고 할 만큼 많은 경혈이 분포돼 있다. 경혈자리를 잘 알고 지압을 해준다면 그 경혈과 연결된 장부의 기능 또한 좋아지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손 지압법은 어디서든 자유롭게 실천할 수 .. 건강으로행복 2008.06.26
[스크랩] 산나물도 되고 약재도 되는일거양득 민간요법 산나물 민간백세 민속약초연구회 http://cafe.daum.net/1chim 꿀풀 이른봄에 싹이 나오고 여름이 오기전에 꽃이진다 하여 한방에서는 하고초(夏枯草)라고 부른다. 전국의 야지에 서식하고 있으며 필자가 거주하고 있는 이곳 강원도 인제군 에서는 가재나물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약용할 때에는 뿌리와 잎꽃 .. 건강으로행복 2008.06.24
<고도원>금연 금연 담배 끊는 사람은 독하다고 하지만 그것은 근거 없는 말이고, 실제로는 실행할 의지가 없는 것이 문제다. 실행할 의지가 없고, 실행할 자신이 없고, 또 그렇게 했을 때 순간적인 고통을 못 견디는 것이다. - 조서환의《모티베이터》중에서 - * 아직도 담배를 피우십니까? 얼른 끊으십시오. 건강과 .. 건강으로행복 2008.06.23
[스크랩] 어려지고 싶다면 매일 먹어야 할 식품 어려지고 싶다면 매일 먹어야 할 식품 마늘 마늘은 강장 효과가 뛰어난 정력 식품 중 하나. 최근 미국 국립암연구소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마늘이 항암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식품일뿐더러 간세포와 뇌세포의 퇴화를 방지하는 항노화 작용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다. 마늘의 지독한 냄새의.. 건강으로행복 2008.06.23
<모셔온글>김치의 건강 효능 9가지+고향으로 여행 아래 아가씨를 크릭, 실행, 실행,Esc 하세요 < ♡ 김치의 건강 효과 ♡ 1. 암예방 효과 2. 동맥경화예방 3. 항산화 효과. 피부 노화 억제 4. 면역 세포의 활성화 5. 비만 억제 효과(고추의 캡사이신' 식이섬유) 6. 변비 예방효과(식이섬유) 7. 식용증강 8. 다양한 미네랄 공급 9. 아토피와 아레르기 개선 자료 :.. 건강으로행복 2008.06.21
[스크랩] 담배를 끊는 7가지 방법 담배를 끊는 7가지 방법 '술'은 끊겠는데 '담배'는 끊기 어렵다는 사람을 흔히 보게 된다 이는 담배로 인한 중독이 알코올중독보다 더 심하기 때문이다. 담배는 사람이 가장 즐기는 기호품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담배를 피우는 성인 남자는 전체의 70%에 달한다. 마치 흡연을 성인이 되는 데 반.. 건강으로행복 2008.06.20